제창(諸瘡)

인면창(人面瘡)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1811 추천 수 0
◎ 人面瘡 ○ 多生膝上亦有臀上生者古書云寃業所生須淸心悔過內服十六味流氣飮(方見癰疽)久者大苦參丸腎氣丸(方見虛勞)外用貝母爲末付之着痂而愈[入門] ○ 人身有瘡如人面面目口鼻皆具昔有一人左膊上生瘡以物食之皆能食灌以酒則面亦赤色醫者敎以歷試諸藥皆無苦至貝母其瘡乃聚眉閉口其人喜曰可治卽取貝母末和水灌入口中數日成痂而愈[本事]

☞ 인면창(人面瘡)

 ○ 인면창은 흔히 무릎에 생기는데 팔꿈치에 생기기도 한다. 옛날 의학책에는 남을 원통하게 한 죄로 생긴다고 씌어 있다. 그러므로 이런 병이 생겼을 때에는 마음을 고쳐 먹고 자기 죄과를 뉘우치면서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 처방은 옹저문에 있다)을 먹어야 한다. 오래된 데는 대고참환, 신기환(腎氣丸,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먹고 겉에는 패모를 가루내어 붙이면 딱지가 앉으면서 낫는다[입문]. ○ 몸에 헌데가 난 것이 마치 사람의 얼굴 같으면서 눈, 입, 코 같은 것이 다 있는 것도 있다. 옛날에 어떤 사람이 왼쪽 어깨죽지에 이런 헌데가 났는데 거기에 무엇을 넣어도 다 먹고 술을 넣으면 헌데가 벌겋게 되었다. 의사가 여러 가지 약을 써보라고 하기에 약을 차례로 썼으나 다 아무런 효과가 없다가 패모를 써보라고 하자 그 헌데에 여러 가지 느낌이 있었다. 그러자 환자가 기뻐서 치료할 수 있다고 하면서 곧 패모가루를 물에 개서 헌데 구멍에 밀어 넣었다. 그런데 며칠 만에 딱지가 앉으면서 나았다[본사]. 

? 大苦參丸 ○ 治人面瘡及?瘡苦參二兩防風荊芥白芷川烏生赤芍藥何首烏川芎獨活梔子?角蔓荊子赤茯?山藥白?藜黃?羌活白附子各五錢草烏?一錢半右爲末水煮麵糊和丸梧子大每服五七十丸空心酒下不飮酒以茶代[入門]
☞ 대고삼환(大苦參丸) ○ 인면창과 염창을 치료한다. ○ 고삼@) 80g, 방풍, 형개, 백지, 오두(찬오, 생것), 적작약, 하수오, 천궁, 독활, 치자, 조협(조각), 순비기열매(만형자), 적복령, 산약,백질려,황기, 강활, 백부자@) 각각 20g, 초오(싸서 구운 것) 6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술로 먹는다. 술을 마시지 못하는 사람은 찻물로 먹는다[입문]. 
관련된 글
  1. 저널 다낭성난소증후군으로 인한 무월경, 희발월경 환자 20명의 증례 보고 by 한닥터
  2. 임상 경험방 치질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주마감(走馬疳)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자림(子淋)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신장풍창(腎臟風瘡)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염창(?瘡)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영류(?瘤)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유주골저(流注骨疽)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신옹(腎癰)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치료하기 어려운 증[不治證]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허로증을 두루 치료하는 약[虛勞通治藥]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by 한닥터 *1
  15. 동의보감 허하여 귀가 먹은 것[虛聾]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하나의 물건이 둘로 보이는 것[視一物爲兩]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피오줌[尿血]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단기(短氣)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노인의 병을 치료하는 법[老人治病] by 한닥터
  20. 태암 처방집 乳癌(유암) 十六味流氣飮(십육미유기음)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처방집 대고삼환(大苦蔘丸)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처방집 신기환(腎氣丸) by 한닥터
  23. 회원임상례 소변단소[등업용] by 육군자
  24. 동의보감 처방집 팔미환(八味丸) by 한닥터
  25. 임상 경험방 산후유즙불출 - 십육미유기음 by 한닥터
  26. 고방 처방집 팔미환 - 신기환 - 팔미신기환 八味丸方(崔氏) by 한닥터
  27. 방약합편 140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백미(白薇) 458
[풀(草部)] 대청(大靑) 301
[풀(草部)] 애엽(艾葉, 약쑥잎) 애실(艾實, 약쑥씨) 525
[풀(草部)] 악실(惡實, 우엉씨) 악실근경(惡實根莖, 우엉뿌리와 줄기) 716
[풀(草部)] 수평(水萍) 부평(浮萍, 개구리밥) 386
[풀(草部)] 왕과(王瓜, 주먹참외) 왕과자(王瓜子, 주먹참외씨) 438
[풀(草部)] 지유(地楡, 오이풀뿌리) 530
[풀(草部)] 대계(大?, 엉겅퀴) 소계(小?, 조뱅이) 690
[풀(草部)] 택란(澤蘭, 쉽싸리) 436
[풀(草部)] 방기(防己) 388
[풀(草部)] 천마(天麻) 614
[풀(草部)] 아위(阿魏) 349
[풀(草部)] 고량강(高良薑, 양강) 492
[침구(針灸)] 족소음소경의 순행[足少陰腎經流注] 508
[침구(針灸)] 수궐음심포경의 순행[手厥陰心包經流注] 447
[침구(針灸)] 수소양삼초경의 순행[手少陽三焦經流注] 459
[침구(針灸)] 족소양담경의 순행[足少陽膽經流注] 419
[침구(針灸)] 족궐음간경의 순행[足厥陰肝經流注] 558
[침구(針灸)] 독맥의 순행과 침혈[督脈流注及孔穴] 332
[침구(針灸)] 경맥의 병에는 시동병과 소생병이 있다는 데 대하여[脈病有是動有所生病] 704
[침구(針灸)] 맥에는 경맥, 낙맥, 손락맥이 있다[脈有經脈絡脈孫絡脈] 732
[침구(針灸)] 12경맥의 혈과 기가 많고 적은 것[十二經血氣多少] 278
[침구(針灸)] 12경맥의 순행과 분포되어 있는 부분[十二經行度部分] 327
[침구(針灸)] 기가 돌아가는 길[氣行有街] 296
[침구(針灸)] 거자법, 무자법, 산자법으로 침놓는 방법[鍼法有巨刺繆刺散刺] 905
[침구(針灸)] 기경8맥(奇經八脈) 1233
[침구(針灸)] 자오8법(子午八法) 293
[침구(針灸)] 자오류주(子午流注) 373
[침구(針灸)] 오장육부소속오수오행五臟六腑所屬五?五行 368
[침구(針灸)] 5수혈과 음양의 배합[五?陰陽配合] 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