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大便)

폭설(暴泄)

한닥터 2011.07.29 조회 수 846 추천 수 0
◎ 暴泄 ○ 太陽傳太陰下痢爲 ?大腸不能禁固卒然而下大便如水其中有小結糞硬物欲起而又下欲了而不了小便多淸此寒也.宜溫之理中湯(方見寒門)漿水散<易老> ○ 有暴下無聲身冷自汗小便淸利大便不禁氣難布息脈微嘔吐此爲寒泄急以重藥溫之宜漿水散<易老> ○ 暴泄宜漿水散朝眞丹

☞ 폭설(暴泄)

  ○ 태양(太陽)에서 태음(太陰)으로 전해가서 오리똥 같은 것을 설사하는 것이다. 그리고 대장이 건전하지 못하면[不能禁固] 갑자기 물 같은 설사를 하는데 딴딴하게 뭉친 작은 대변 덩어리[小結糞硬物]가 섞여 나온다. 그리고 일어나려면 또 설사가 나고 멎으려다가도 멎지 않으며 오줌이 맑다. 이것은 차서[寒] 그런 것이다. 그러므로 덥게 해주어야 하는데 이중탕(理中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이나 장수산을 쓴다[역로]. ○ 갑자기 설사를 하는데 배는 끓지 않고[無聲] 몸이 차며 땀이 저절로 나고 오줌이 맑으며 잘 나오고 대변을 참지 못하며 숨쉴 기운이 없고 맥이 미(微)하며 토하는 것은 한설(寒泄)이다. 이때에는 빨리 성질이 더운약으로 덥혀야 하는데 장수산을 쓴다[역로]. ○ 폭설에는 장수산, 조진단을 쓴다. 

? 漿水散治暴泄一身冷汗脈沈弱氣少不能語甚者加吐此爲緊病半夏製二兩乾薑?肉桂附子?甘草灸各五錢良薑二錢半右爲★末每服五錢水二盞煎至一盞空心熱服<易老>
장수산(漿水散) ○ 폭설을 치료하는데 이때에는 온몸에 찬 땀이 나고 맥이 침(沈)하고 약(弱)하며 기운이 없어서 말을 잘하지 못한다. 그리고 심하면 토하기까지 하는데 이것은 위급한 병이다. ○ 반하(법제한 것) 80g, 건강(싸서 구운 것), 육계, 부자(싸서 구운 것), 감초(볶은 것) 각각 20g, 양강 10g. ○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20g씩 물 2잔에 넣고 절반이 되게 달여 빈속에 먹는다[역로]. 

? 朝眞丹治寒盛泄瀉不止腸鳴腹痛手足厥冷脈微弱硫黃生硏三兩白礬?七錢半右爲末水浸蒸餠和丸梧子大朱砂三錢爲衣米飮下三十丸<局方>
☞ 조진단(朝眞丹) ○ 찬 기운이 성하여 설사가 멎지 않고 배가 끓으면서[腸鳴] 아프며 손발이 싸늘하고[厥冷] 맥이 미약한 것을 치료한다. ○ 유황(생것을 간 것) 120g, 백반(태운 것) 3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불린 증병(蒸餠)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다음 알약에 주사 12g을 입혀서 한번에 30알씩 미음으로 먹는다[국방].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이중탕 , 理中湯, Yijung-tang by 한닥터
  2. 방약합편 이중탕, 인삼탕 理中湯,人蔘湯 by 한닥터
  3. 기본방 모음 238. 人蔘湯(인삼탕)=理中湯(이중탕) by 한닥터
  4. 방약합편 HK175 理中湯(이중탕) by 한닥터
  5. 기본방 모음 238. 人蔘湯(인삼탕)=理中湯(이중탕) by 한닥터
  6. 기본방 모음 6 이중탕(理中湯) by 한닥터 *1
  7. 동의보감 구토(嘔吐) by 한닥터
  8. 동의보감 배가 아프고 불러 오르는 것[腹痛腹脹] by 한닥터
  9. 동의보감 토하고 설사하는 것[吐瀉]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음황(陰黃)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곽란을 앓은 뒤에 힘줄이 뒤틀리는 것[?亂後轉筋]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습곽란을 치료하는 방법[濕?亂治法]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건곽란을 치료하는 방법[乾?亂治法]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안개와 이슬의 맑고 탁한 사기가 사람에게 침습한다[霧露淸濁之邪中人]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상한병의 치료법[傷寒治法]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상한에 회충을 토하는 것[傷寒吐蛔]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상한에 저절로 설사가 나는 것[傷寒自利]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상한동기(傷寒動氣)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상한전율(傷寒戰慄)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음극사양(陰極似陽)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상한음궐(傷寒陰厥)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상한의 반표반리증[傷寒半表半裏證]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소음병 때 저절로 설사하는 것[少陰病自利]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태음병 때에 황달이 생기는 것[太陰病發黃]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태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약 쓰는 방법[太陰形證用藥]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설사를 몹시 시킨 다음 설사가 멎지 않는 것[大下後難禁]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분돈산기(奔豚疝氣)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배꼽 부위가 툭툭 뛰는 증[臍築證]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뱃속이 끓는 것[腹中鳴]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배가 아프고 구토하면서 설사하는 것[腹痛嘔泄]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복통에는 허증과 실증이 있다[腹痛有虛實]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배 아픈 부위가 다르다[腹痛有部分]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허화로 입 안이 허는 것[虛火口瘡]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이질을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治痢要訣]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구리(久痢)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허리(虛痢)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한리(寒痢)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주설(酒泄)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한설(寒泄)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여러 가지 설사증[泄瀉諸證]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회궐로 충을 토하는 것[蛔厥吐蟲]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가래침을 자주 뱉는 것[喜唾痰] by 한닥터
  43. 방약합편 238. 人蔘湯(인삼탕)=理中湯(이중탕)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처방집 이중탕(理中湯) by 한닥터
  45. 보험 정보 이중탕 - 건강보험 적응증 by 한닥터
  46. 회원임상례 (등업용) 소화불량 & 머리떨림 by 아거다 *1
  47. 동의보감 처방집 조진단(朝眞丹)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처방집 장수산(漿水散) by 한닥터
  49. 회원임상례 등업용 임상례입니다. - 산증 by 하마 *1
  50. 회원임상례 한습형 체질 태음인 처방 - 등업용 by 스마일 *1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변(大便)] 폭설(暴泄) 846
[대변(大便)] 이질을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治痢要訣] 10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