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眼)

투침(偸鍼)

한닥터 2011.08.08 조회 수 1420 추천 수 0
◎ 偸鍼 ○ 目?瘍俗謂之偸鍼[綱目] ○ 眼眥生小疱細紅點如瘡以鍼刺破卽差故名爲偸鍼實解太陽經之結熱也[醫林] ○ 脾間積熱兼宿食不消則生偸鍼秦皮剉和砂糖煎水調大黃末一錢服利之卽消[直指] ○ 治偸鍼生南星生地黃同硏成膏貼兩太陽穴腫自消[綱目] ○ 拔去睫毛卽自消[俗方]
 
☞ 투침(偸鍼)

 ○ 눈귀[目?]에 종기가 생긴 것을 민간에서는 투침이라고 한다[강목]. ○ 눈귀에 작고 벌건 점이 생겼다가 물집으로 되면 헌데같이 된다. 그러나 침으로 터뜨리면 곧 낫기 때문에 투침이라고 한다. 이것은 태양경(太陽經)에 맺힌 열을 풀어 주는 것이다[의림]. ○ 비(脾)에 열이 쌓이고 겸하여 오랜 식체로 소화되지 않으면 투침이 생긴다. 이런 데는 물푸레나무껍질(秦皮)을 썰어서 사탕과 함께 섞어 물에 달인 다음 대황가루 4g을 타서 먹는다. 그 다음 설사가 나면 곧 없어진다[직지]. ○ 투침을 치료하는 데는 천남성(생것)과 생지황을 함께 갈아서 고약처럼 되게 만들어 양쪽 태양혈 부위에 붙이면 부은 것이 저절로 삭는다[강목]. ○ 속눈썹을 뽑아 버려도 곧 삭는다[속방]. 
 
? 臘茶飮 ○ 治赤脈瞖從上而下此屬太陽宜溫散之芽茶附子白芷各一錢細辛川芎防風羌活荊芥各半錢右剉作一貼入鹽一撮水煎服[綱目]
☞ 납다음(臘茶飮) ○ 눈에 생긴 붉은 핏줄이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오면서 가리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태양경에 속하는 병인데 성질이 더운약으로 발산시켜야 한다. ○ 작설차, 부자, 백지 각각 4g, 세신, 천궁, 방풍, 강활, 형개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소금 한 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강목]. 
 
? 夏枯草散 ○ 治肝虛目睛痛冷淚不止怕日羞明(方見下)
☞ 하고초산(夏枯草散) ○ 간(肝)이 허하여 눈알이 아프고 찬 눈물이 멎지 않고 나오며 눈이 부셔서 햇볕을 싫어하는 것을 치료한다(처방은 아래에 있다). 
 
? 明目流氣飮 ○ 治肝經不足風熱上攻視物昏暗常見黑花多淚隱澁或生瞖障蒼朮一兩草決明七錢半大黃川芎細辛惡實甘菊防風白蒺藜荊芥穗蔓荊子玄參木賊黃芩梔子甘草各五錢右爲末每二錢臨臥冷酒或蜜水調下[入門]
☞ 명목유기음(明目流氣飮) ○ 간경(肝經)이 허하여 풍열(風熱)이 치밀기 때문에 무엇이나 똑똑하게 보이지 않고 늘 검은 꽃 같은 것이 보이며 눈물이 많고 깔깔하며 혹 예장(瞖障)이 생기는 것을 치료한다. ○ 창출 40g, 결명자@) 30g, 대황, 천궁, 세신, 우엉씨(대력자), 단국화(감국), 방풍, 백질려,형개수, 순비기열매(만형자), 현삼, 목적,황금, 산치자, 감초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잠잘 무렵에 찬 술이나 봉밀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 神仙退雲丸 ○ 一名撥雲退瞖丸治一切瞖膜內外障昏無睛者服之累效眞妙方也當歸酒洗一兩半川芎木賊去節童便浸焙密蒙花荊芥穗地骨皮白蒺藜甘菊羌活各一兩川椒炒七錢半瓜蔞根枳實蔓荊子薄荷草決明炒甘草灸各五錢蛇蟬蛻黃連各三錢右爲末蜜和每一兩作十丸茶淸或湯飮化下一丸[正傳]
☞ 신선퇴운환(神仙退雲丸) ○ 일명 발운퇴예환(撥雲退瞖丸)이라고도 한다. 일체 예막(瞖膜)과 내장(內障), 외장(外障)으로 검은자위가 알리지 않는[昏無睛] 데 먹여서 여러 번 고쳤다. 참으로 좋은 처방이다. ○ 당귀(술에 씻은 것) 60g, 천궁, 목적(마디를 버리고 동변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밀몽화, 형개수, 지골피, 백질려,단국화(감국), 강활 각각 40g, 산초(볶은 것) 30g, 천화분, 지실, 순비기열매(만형자), 박하, 결명자(볶은 것), 감초(볶은 것) 각각 20g, 사태,선퇴(선태), 황련 각각 12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에 반죽해서 40g으로 10알을 만들어 한번에 1알씩 찻물이나 끓인 물에 풀어 먹는다[정전]. 
 
? 石決明散 ○ 治肝熱眼赤腫痛忽生瞖膜或脾熱內如鷄冠蜆肉或蟹睛疼痛或旋螺尖起石決明草決明各一兩羌活梔子木賊靑箱子赤芍藥各五錢大黃荊芥各二錢半右爲末每二錢麥門冬湯調下[入門] ○ 一名大決明散
☞ 석결명산(石決明散) ○ 간열(肝熱)로 눈에 피지면서 붓고 아프다가 갑자기 예막이 생기는 것이나 비(脾)에 열이 있어서 눈꺼풀 안쪽에 닭의 볏이나 가막조갯살같이 생긴 것이 나오는 것과 해정(蟹睛)으로 아픈 것, 선라첨기(旋螺尖起)를 치료한다. ○ 전복껍질(석결명), 결명자@) 각각 40g, 강활, 산치자, 목적,청상자,적작약 각각 20g, 대황, 형개 각각 1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맥문동을 달인 물에 타 먹는다[입문]. ○ 일명 대결명산(大決明散)이라고도 한다. 
 
? 撥雲散 ○ 治風毒上攻眼目昏暗瞖膜遮睛痒痛多淚柴胡二兩羌活防風甘草各一兩右爲末每二錢以薄荷湯或茶淸調下或剉取五錢水煎服亦效[入門]
☞ 발운산(撥雲散) ○ 풍독(風毒)이 치밀어 올라 눈이 잘 보이지 않고 예막이 눈알을 가리며 가렵고 아프며 눈물이 많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 시호 80g, 강활, 방풍, 감초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박하를 달인 물이나 찻물에 타 먹는다. 혹 썰어서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먹어도 잘 낫는다[입문]. 
 
? 局方密蒙花散 ○ 治風眼昏暗多淚幷暴赤腫密蒙花白蒺藜炒羌活木賊甘菊石決明各等分右爲末每一錢茶淸調下[局方]
☞ 국방밀몽화산(局方密蒙花散) ○ 풍안(風眼)㈜으로 잘 보이지 않고 눈물이 많이 나오는 것과 갑자기 눈이 벌겋게 붓는 것을 치료한다. ○ 밀몽화, 백질려(볶은 것), 강활, 목적,단국화(감국), 전복껍질(석결명)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찻물에 타 먹는다[국방]. 
[註]풍안(風眼) : 눈병의 한 가지이다. 이 병 때에는 눈이 가렵고 눈물이 자주 나오는데 바람을 쏘이면 눈물이 더 나온다. 그러나 눈은 아프지도 않고 피가 지지도 않는다. 
 
? 蟬花散 ○ 治肝經蘊熱毒氣上攻眼目赤腫生瞖多淚草龍膽甘菊密蒙花蔓荊子荊芥穗川芎蟬殼靑箱子草決明梔子防風木賊白?藜甘草各等分右爲末每二錢茶淸或荊芥湯調下[入門]
☞ 선화산(蟬花散) ○ 간경(肝經)에 쌓인 열독기가 치밀어 올라서 눈이 벌겋게 부으며 예막이 생기고 눈물이 많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 용담초, 단국화(감국), 밀몽화, 순비기열매(만형자), 형개수, 천궁, 선퇴(선각), 청상자,결명자,산치자, 방풍, 목적,백질려,감초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찻물이나 형개를 달인 물에 타 먹는다[입문]. 
 
? 洗肝明目湯 ○ 治一切風熱眼目赤腫疼痛當歸尾川芎赤芍藥生地黃黃連黃芩梔子石膏連翹防風荊芥薄荷羌活蔓荊子甘菊白蒺藜草決明桔梗甘草各五分右剉水煎食後服[回春]
☞ 세간명목탕(洗肝明目湯) ○ 일체 풍열(風熱)로 눈이 벌겋게 부으며 아픈 것을 치료한다. ○ 당귀(잔뿌리), 천궁, 작약, 생지황, 황련, 황금, 산치자, 석고, 연교, 방풍, 형개, 박하, 강활, 순비기열매(만형자), 단국화(감국), 백질려,결명자,길경, 감초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회춘]. 
 
? 散熱飮子 ○ 治眼暴赤腫疼痛防風羌活黃芩黃連各等分右剉五錢水煎服[易老]
☞ 산열음자(散熱飮子) ○ 눈이 갑자기 벌겋게 부으며 아픈 것을 치료한다. ○ 방풍, 강활, 황금, 황련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먹는다[역로]. 
 
? 柴胡湯 ○ 治肝火盛目赤腫痛柴胡赤芍藥川芎當歸靑皮草龍膽梔子連翹各一錢甘草五分右剉作一貼水煎食後服[回春]
☞ 시호탕(柴胡湯) ○ 간화(肝火)가 성하여 눈이 벌겋게 부으며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시호, 작약, 천궁, 당귀, 청피, 용담초, 산치자, 연교 각각 4g, 감초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회춘]. 
 
? 四物龍膽湯 ○ 治目赤腫痛暴作雲瞖川芎當歸赤芍藥生乾地黃各一錢三分羌活防風各八分草龍膽防己各六分右剉作一貼水煎服[海藏]
☞ 사물용담탕(四物龍膽湯) ○ 눈이 벌겋게 붓고 아프며 갑자기 운예(雲瞖)㈜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 천궁, 당귀, 적작약, 생건지황 각각 5.2g, 강활, 방풍 각각 3.2g, 용담초, 방기 각각 2.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해장]. 
[註] 운예(雲瞖) : 눈에 허연 예막이 생겨 눈동자를 가려서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 
 
? 羚羊角散 ○ 治兩腫硬如桃李開目不得羚羊角屑防風羌活人參赤茯苓升麻大黃車前子玄參黃芩各七分梔子細辛各三分右剉作一貼水煎服[類聚]
☞ 영양각산(羚羊角散) ○ 양쪽 눈두덩이 복숭아나 추리[李]처럼 뜬뜬하게 부어 눈을 뜨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영양각(가루낸 것), 방풍, 강활, 인삼, 적복령, 승마, 대황, 차전자, 현삼, 황금 각각 2.8g, 산치자, 세신 각각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유취]. 
 
? 羚羊角散 ○ 治蟹睛疼痛羚羊角屑黃連赤芍藥蘆根木通旋覆花桑白皮各一錢大黃七分甘草三分右剉作一貼入竹葉七片水煎食後服[類聚]
☞ 영양각산(羚羊角散) ○ 해정(蟹睛)으로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영양각(가루낸 것), 황련, 작약, 갈뿌리(노근), 목통, 선복화, 상백피 각각 4g, 대황 2.8g, 감초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죽엽 7잎과 함께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유취]. 
 
? 地黃散 ○ 治混睛生地黃一兩赤芍藥當歸甘草各五錢右剉五錢水煎服[得效]
☞ 지황산(地黃散) ○ 혼정(混睛)을 치료한다. ○ 생지황 40g, 적작약, 당귀, 감초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 三黃散 ○ 治努肉攀睛大黃黃芩防風薄荷各一錢二分半右剉蜜少許同煎服[得效]
☞ 이황산(二黃散) ○ 노육반정(努肉攀睛)을 치료한다. ○ 대황, 황금, 방풍, 박하 각각 5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봉밀 조금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 定心元 ○ 治同上麥門冬一兩石菖蒲枸杞子甘菊各五錢遠志二錢半右爲末蜜丸梧子大熟水下三十丸[得效]
☞ 정심원(定心元) ○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 맥문동 40g, 석창포, 구기자, 단국화(감국) 각각 20g, 원지 1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득효]. 
 
? 速效散 ○ 治努肉紅綠紅白瞖障及白珠上有死血紅筋或上瞼胞腫如桃日夜疼痛昏暗黃連黃芩黃栢梔子連翹薄荷荊芥柴胡當歸生地黃地骨皮天花粉蔓荊子甘菊惡實白蒺藜草決明石決明枳殼甘草各五分右剉作一貼水煎食後服[醫鑑]
☞ 속효산(速效散) ○ 군살과 벌겋거나 녹색 또는 벌겋거나 흰 예장(瞖障)이 생긴 것과 흰자위에 죽은 피나 벌건 막이 생기고 혹 눈두덩이가 복숭아처럼 부어 밤낮 아프고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황련, 황금, 황백, 산치자, 연교, 박하, 형개, 시호, 당귀, 생지황, 지골피, 천화분, 순비기열매(만형자), 단국화(감국), 우엉씨(대력자), 백질려,결명자,전복껍질(석결명), 지각, 감초 각각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의감]. 
 
? 爐甘石散 ○ 治爛弦風爐甘石不以多少先用童便煆淬七次次以黃連煎湯煆淬七次又以雀舌茶淸煆淬七次三汁合置一處再三次放冷硏細入腦麝各少許點眼弦神妙[綱目] ○ 又方綠色爐甘石煆淬童尿凡三次出火毒一日夜硏細夾黃連末用童尿浸取淸汁點眼胞[直指]
☞ 노감석산(爐甘石散) ○ 난현풍(爛弦風)을 치료한다. ○ 노감석. ○ 적당한 양을 먼저 불에 달구었다가 동변에 담그기를 일곱번 한 다음 다시 달구었다가 황련을 달인 물에 담그기를 일곱번 한다. 그 다음 또 달구었다가 작설차를 달인 물에 담그기를 일곱번 한다. 이 3가지 물을 한데 섞은 다음 여기에 또 노감석을 달구었다가 담그기를 세번 한다. 다음 식혀서 보드랍게 갈아 용뇌와 사향을 각각 조금씩 섞어서 눈시울에 바르면 잘 낫는다[강목]. ○ 또 한 가지 처방은 풀빛이 나는 노감석을 불에 달구었다가 동변에 담그기를 세번하고 하루동안 화독(火毒)을 뺀 다음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쓰게 되었는데 동변에 황련가루를 담갔다가 밭은 물에 개어 눈두덩에 바른다[직지]. 
 
? 聖草散 ○ 治爛弦風蟲痒覆盆子葉擣取汁以皂紗蒙眼上將筆蘸藥汁盡兩眸於紗上然後以汁滴之當有蟲出[得效] ○ 又法取覆盆子軟葉入初男兒乳汁硏勻爲丸置眥頭上引蟲自出[直指]
☞ 성초산(聖草散) ○ 난현풍 때에 벌레가 생겨서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 복분자잎을 짓찧어 즙을 낸다. 그 다음 검은 생비단으로 눈을 덮고 즙을 붓에 묻혀 비단 위에 두 눈알을 맞추어 눈을 그린다. 다음 약물을 떨구면 반드시 벌레가 나온다[득효]. ○ 또 한 가지 방법은 복분자의 연한 잎을 가루를 내어 젖에 개서 알약을 만들어 쓰는 것인데 눈의 외자와 내자에 놓아 두면 벌레가 저절로 나온다[직지]. 
 
? 淸凉散 ○ 治水瑕深瞖靑色蔓荊子荊芥穗苦竹葉甘草各一錢半梔子七分半右剉作一貼入薄荷七葉水煎服[得效]
☞ 청량산(淸凉散) ○ 수하심예(水瑕深瞖)로 푸른 빛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 순비기열매(만형자), 형개수, 고죽엽, 감초 각각 6g, 산치자 3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박하 7잎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 車前散 ○ 治肝經熱毒逆順生瞖血灌瞳人羞明多淚密蒙花甘菊白蒺藜羌活草決明車前子黃芩草龍膽甘草各等分右爲末每二錢米飮調下[得效]
☞ 차전산(車前散) ○ 간경(肝經)에 열독이 있어 순생예(順生瞖)나 역생예(逆生瞖)가 생긴 것과 혈관동인(血灌瞳人)으로 눈이 부시고 눈물이 많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 밀몽화, 단국화(감국), 백질려,강활, 결명자,차전자, 황금, 용담초, 감초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서 먹는다[득효]. 
 
? 消毒飮 ○ 治瞼生風粟大黃煨荊芥穗各二錢惡實甘草各一錢右剉水煎服[得效] ○ 一名加味荊黃湯[入門]
☞ 소독음(消毒飮) ○ 검생풍속(瞼生風粟)을 치료한다. ○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형개수 각각 8g, 우엉씨(대력자), 감초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 일명 가미형황탕(加味荊黃湯)이라고도 한다[입문]. 
 
? 白薇元 ○ 治漏睛膿出白薇五錢防風羌活白蒺藜炒石榴皮各二錢半右爲末米粉糊和丸梧子大白湯下三十丸[得效]
☞ 백미원(白薇元) ○ 누정농출(漏睛膿出)을 치료한다. ○ 백미 20g, 방풍, 강활, 백질려(볶은 것), 석류피 각각 1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쌀가루 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득효]. 
 
? 黃芪散 ○ 治漏睛膿出黃芪防風子芩大黃煨各一錢地骨皮遠志人參赤茯苓漏蘆各五分右剉作一貼水煎食後服朝夕[類聚]
☞ 황기산(黃芪散) ○ 누정농출을 치료한다. ○ 황기, 방풍, 황금,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각각 4g, 지골피, 원지, 인삼, 적복령, 뻐꾹채(누로)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아침 저녁 끼니 뒤에 먹는다[유취]. 
 
? 龍膽散 ○ 治肝熱烏睛浮腫赤暈昏疼草龍膽梔子仁各二錢防風川芎玄參荊芥茵陣甘菊楮實子甘草各一錢右爲末每二錢食後茶淸調下[直指]
☞ 용담산(龍膽散) ○ 간에 열이 있어서 검은자위가 붓고 벌건 무리[赤暈]가 생기며 잘 보이지 않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용담초, 산치자 각각 8g, 방풍, 천궁, 현삼, 형개, 인진,단국화(감국), 닥나무열매(저실자), 감초 각각 4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찻물에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직지]. 
 
? 淸肺散 ○ 治肺熱上攻白睛腫脹日夜疼痛桑白皮片芩甘菊枳殼防風荊芥柴胡升麻赤芍藥當歸尾玄參苦參白蒺藜木賊旋覆花甛葶藶子甘草各五分右剉作一貼水煎食後服[醫鑑]
☞ 청폐산(淸肺散) ○ 폐열(肺熱)이 치밀어 올라와 흰자위가 부어 밤낮으로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상백피, 황금, 단국화(감국), 지각, 방풍, 형개, 시호, 승마, 작약, 당귀(잔뿌리), 현삼, 고삼,백질려,목적,선복화, 정력자,감초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의감]. 
 
? 蟬花無比散 ○ 治風眼氣眼昏淚痒瞖或頭風牽引眼小胞爛蒼朮童尿浸二宿切曬乾白芍藥各一兩白蒺藜炒八錢白茯苓四錢石決明製當歸防風羌活各三錢蟬殼甘草各二錢蛇蛻皂角水洗焙荊芥細辛各一錢右爲末每二錢茶淸或米泔調下食後[得效]
☞ 선화무비산(蟬花無比散) ○ 풍안(風眼)과 기안(氣眼)으로 잘 보이지 않고 눈물이 나오면서 가렵고 예막이 생기며 혹 두풍증으로 잡아당기며 눈이 작아지고 눈꺼풀이 짓무른 것을 치료한다. ○ 창출(동변에 2일밤 동안 담갔다가 썰어서 볕에 말린 것), 백작약 각각 40g, 백질려(볶은 것) 32g, 백복령 16g, 전복껍질(석결명, 법제한 것), 당귀, 방풍, 강활 각각 12g, 선퇴(선각), 감초 각각 8g, 사태(조협를 달인 물에 씻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형개, 세신 각각 4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찻물이나 쌀 씻은 물에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득효]. 
 
? 槐子丸 ○ 治風邪牽引瞳人令眼偏視槐實二兩覆盆子酸棗仁炒栢子仁車前子蔓荊子茺蔚子鼠粘子炒白蒺藜炒各一兩右爲末蜜丸梧子大酒下三十丸[類聚]
☞ 괴자환(槐子丸) ○ 풍사(風邪)로 눈동자가 잡아 당겨 사팔뜨기가 된 것을 치료한다. ○ 괴실@) 80g, 복분자, 산조인(볶은 것), 백자인, 차전자, 순비기열매(만형자), 익모초씨(충위자), 우엉씨(대력자, 볶은 것), 백질려(볶은 것)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0알씩 술로 먹는다[유취]. 
 
? 五退散 ○ 治脾受風毒倒睫拳毛刺痛穿山甲炒川烏炮甘草灸各五錢蟬退蠶退蛇退醋煮猪蹄退炒荊芥穗各二錢半右爲末每二錢鹽湯調下食後[入門]
☞ 오퇴산(五退散) ○ 비가 풍독(風毒)을 받아서 도첩권모(倒睫拳毛)가 생겨 찌르는 것같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천산갑(볶은 것), 오두(천오, 싸서 구운 것), 감초(볶은 것) 각각 20g, 선퇴, 잠퇴, 뱀허물(사퇴, 식초에 삶아낸 것), 돼지발굽발톱(猪蹄退, 볶은 것), 형개수 각각 1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소금 끓인 물에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입문]. 
 
? 神效明目湯 ○ 治眼楞緊急致倒睫拳毛上下瞼皆赤爛睛痛流淚隱澁難開甘草二錢葛根一錢半防風一錢蔓荊子五分細辛二分右剉作一貼水煎食後服[東垣]
☞ 신효명목탕(神效明目湯) ○ 눈시울이 당겨서 도첩권모가 생겨서 아래위의 눈꺼풀이 다 벌겋게 진물고 눈알이 아프며 눈물이 흐르고 깔깔하여 눈뜨기 힘든 것을 치료한다. ○ 감초 8g, 갈근 6g, 방풍 4g, 순비기열매(만형자) 2g, 세신 0.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동원]. 
 
? 明目細辛湯 ○ 治同上羌活麻黃根各一錢半防風一錢荊芥七分藁本白茯苓當歸梢各五分生地黃蔓荊子川芎各三分桃仁五箇川椒四箇細辛紅花各二分右剉作一貼水煎服[東垣]·
☞ 명목세신탕(明目細辛湯) ○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 강활, 마황뿌리 각각 6g, 방풍 4g, 형개 2.8g, 고본, 백복령, 당귀(잔뿌리) 각각 2g, 생지황, 순비기열매(만형자), 천궁 각각 1.2g, 도인 5알, 산초(천초) 4개, 세신, 잇꽃(홍화) 각각 0.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 天門冬飮子 ○ 治眼睛不能歸中名曰轆轤轉關天門冬茺蔚子知母各一錢人參赤茯苓羌活各七分五味子防風各五分右剉作一貼水煎食後服[入門]
☞ 천문동음자(天門冬飮子) ○ 눈알이 똑바로 서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녹로전관(轆轤轉關)이라고 한다. ○ 천문동, 익모초씨(충위자), 지모 각각 4g, 인삼, 적복령, 강활 각각 2.8g, 오미자, 방풍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입문]. 
 
? 犀角散 ○ 治墜睛失明車前子枸杞子各一兩槐子五味子靑箱子牛蒡子炒蔚子胡黃連各七錢半犀角屑羚羊角屑各五錢免肝一具微灸右爲末每二錢食後以槐子煎湯調下[類聚]
☞ 서각산(犀角散) ○ 눈알이 아래로 쏠려 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차전자, 구기자 각각 40g, 괴실,오미자, 청상자,우엉씨(대력자, 볶은 것), 익모초씨(충위자), 호황련 각각 30g, 서각(가루낸 것), 영양각(가루낸 것) 각각 20g, 토끼간(토간, 약간 굽는다) 1보.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괴실@)를 달인 물에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유취]. 
 
? 地黃膏 ○ 治眼被物撞打腫痛昏暗生地黃一合取汁黃連一兩黃栢寒水石各五錢右三味爲末和地黃汁成餠以紙攤貼眼上非但撞打凡風熱赤目熱淚出皆可用[得效]
☞ 지황고(地黃膏) ○ 눈을 얻어맞아 붓고 아프며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생지황 1홉(즙을 낸다), 황련 40g, 황백, 한수석 각각 20g. ○ 위의 3가지 약을 가루를 내어 지황즙에 반죽해서 떡을 만든다. 이것을 종이에 발라서 눈 위에 붙인다. 이 밖에도 풍열(風熱)로 눈이 벌겋고 뜨거운 눈물이 나오는 데도 쓸 수 있다[득효]. 
 
? 生地黃散 ○ 治眼被撞打腫痛生乾地黃川芎羚羊角大黃赤芍藥枳殼木香各一錢右剉作一貼水煎食後服[類聚]
☞ 생지황산(生地黃散) ○ 눈을 얻어맞아서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생건지황, 천궁, 영양각, 대황, 작약, 지각, 목향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유취]. 
 
? 輕效散 ○ 治眼被撞刺生瞖昏痛不見物柴胡二錢大黃當歸赤芍藥犀角各一錢甘草五分右剉作一貼水煎食後服[入門]
☞ 경효산(輕效散) ○ 눈을 얻어맞거나 찔려 예막이 생겨서 아프고 물건을 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시호 8g, 대황, 당귀, 적작약, 서각 각각 4g, 감초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입문]. 
 
? 通血丸 ○ 治血灌瞳人刺痛無障瞖川芎當歸尾防風荊芥各一兩生乾地黃赤芍藥甘草各五錢右爲末蜜丸彈子大每一丸以薄荷荊芥湯嚼下食後[入門]
☞ 통혈환(通血丸) ○ 혈관동인(血灌瞳人)으로 찌르는 것같이 아프고 예막은 생기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천궁, 당귀(잔뿌리), 방풍, 형개 각각 40g, 생건지황, 적작약, 감초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에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박하와 형개를 달인 물로 끼니 뒤에 씹어 먹는다[입문]. 
 
? 瞿麥散 ○ 治塵砂眯目磣痛瞿麥炒黃色爲末鵝涎調和逐時塗眥頭卽開而愈[得效]
☞ 구맥산(瞿麥散) ○ 먼지나 모래가 눈에 들어가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 구맥@). ○ 위의 약들을 노랗게 되도록 볶아 가루를 내어 거위침[鵝涎]에 개서 때때로 눈의 내자와 외자에 바르면 눈이 곧 뜨이면서 낫는다[득효]. 
 
? 救苦湯 ○ 治眼暴赤腫苦痛不可忍蒼朮草龍膽各一錢四分當歸甘草各一錢川芎六分生地黃黃栢黃芩知母各五分羌活升麻柴胡防風고本黃連各三分桔梗連翹細辛紅花各二分右剉作一貼水煎食後服[正傳]
☞ 구고탕(救苦湯) ○ 눈에 갑자기 피가 지고 부어서 견딜 수 없이 고통스러운 것을 치료한다. ○ 창출, 용담초 각각 5.6g, 당귀, 감초 각각 4g, 천궁 2.4g, 생지황, 황백, 황금, 지모 각각 2g, 강활, 승마, 시호, 방풍, 고본, 황련 각각 1.2g, 길경, 연교, 세신, 잇꽃(홍화) 각각 0.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정전]. 
 
? 五黃膏 ○ 治目赤腫痛黃栢一兩黃連黃芩黃丹大黃各五錢右爲末每一錢蜜水調成膏攤緋絹上隨左右貼太陽穴乾則以溫水潤之[御藥]
☞ 오황고(五黃膏) ○ 눈이 피지고 부으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 황백 40g, 황련, 황금, 황단, 대황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물에 개서 고약을 만든다. 이것을 붉은 비단천에 발라서 아픈 쪽의 태양혈(太陽穴)에 붙이고 마르면 더운물로 축여 준다[어약]. 
 
? 觀音夢授丸 ○ 治內障因病赤眼或食鹹物而得者夜明砂當歸蟬退木賊各三兩右爲末白羯羊肝四兩煮爛擣如膏和丸梧子大空心熟水下五十丸百日如故[得效]
☞ 관음몽수환(觀音夢授丸) ○ 적안(赤眼)을 앓았거나 짠 것을 많이 먹은 것으로 내장이 된 것을 치료한다. ○ 야명사, 당귀, 선퇴, 목적@) 각각 12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불깐 흰 숫양의 간 160g을 푹 삶아서 고약처럼 되게 짓찧은데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따뜻한 물로 빈속에 먹는다. 1백일만 먹으면 낫는다[득효]. 
 
? 白殭蠶散 ○ 治肺虛遇風冷淚出冬月尤甚黃桑葉一兩木賊旋覆花白殭蠶荊芥穗甘草各三錢細辛五錢右剉取七錢水煎食後服或爲末取二錢荊芥湯調下[入門]
☞ 백강잠산(白殭蠶散) ○ 폐(肺)가 허하여 찬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나오는 것이 겨울에는 더 심해지는 것을 치료한다. ○ 누런 뽕잎(桑葉) 40g, 목적,선복화, 백강잠, 형개수, 감초 각각 12g, 세신 20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8g씩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 혹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형개를 달인 물에 타서 먹기도 한다[입문]. 
 
? 歸葵湯 ○ 治視物昏花流淚隱澁目中溜火惡日與火光升麻一錢黃芪酒芩防風羌活各七分蔓荊子連翹生地黃當歸人參紅葵花生甘草各五分柴胡三分右剉作一貼水煎食後溫服[入門]
☞ 귀규탕(歸葵湯) ○ 무엇을 보나 잘 보이지 않고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며 눈물이 나오고 깔깔하며 눈에서 불이 번쩍 일며 해와 불빛을 싫어하는 것을 치료한다. ○ 승마 4g, 황기, 황금(술에 씻은 것), 방풍, 강활 각각 2.8g, 순비기열매(만형자), 연교, 생지황, 당귀, 인삼, 홍규화, 감초(생것) 각각 2g, 시호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입문]. 
 
? 木賊散 ○ 治眼多冷淚木賊木耳燒存性等分爲末每二錢熱米泔調下[入門]
☞ 목적산(木賊散) ○ 찬 눈물이 많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 속새나무에 돋은 버섯(木賊木耳, 약성이 남게 태운 것)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뜨거운 쌀 씻은 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 蒼朮散 ○ 治肝藏風熱盛眼出冷淚不止蒼朮木賊白蒺藜防風羌活川芎甘草各等分右爲末每二錢溫米調下食後[醫鑑]
☞ 창출산(蒼朮散) ○ 간에 풍열(風熱)이 심하여 찬 눈물이 멎지 않고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 창출, 목적,백질려,방풍, 강활, 천궁, 감초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따뜻한 쌀 씻은 물에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의감]. 
 
? 驅風一字散 ○ 治眼痒極甚川芎荊芥川烏炮各五錢羌活防風各二錢半右爲末每二錢薄荷湯調下食後[得效]
☞ 구풍일자산(驅風一字散) ○ 눈이 몹시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 천궁, 형개, 오두(천오, 싸서 구운 것) 각각 20g, 강활, 방풍 각각 1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박하를 달인 물에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득효]. 
 
? 犀角飮 ○ 治黃膜上衝睛痛閉澁犀角鎊屑二錢羌活黃芩車前子各一錢白附子麥門冬各五分右剉作一貼水煎食後服[得效]
☞ 서각음(犀角飮) ○ 황막상충(黃膜上衝)으로 눈알이 아파서 눈이 감기고 깔깔한 것을 치료한다. ○ 서각(썰어서 가루낸 것) 8g, 강활, 황금, 차전자 각각 4g, 백부자,맥문동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득효]. 
 
? 牛黃丸 ○ 治小兒通睛犀角屑二錢牛黃一錢金箔銀箔各五片甘草二錢半右爲末蜜丸菉豆大每七丸薄荷湯呑下[入門]
☞ 우황환(牛黃丸) ○ 소아통정(小兒通睛)을 치료한다. ○ 서각(가루낸 것) 8g, 우황 4g, 금박, 은박 각각 5편, 감초 1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에 반죽하여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알씩 박하를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세간명목탕 洗肝明目湯 by 한닥터
  2. 회원임상례 (등업용) 수십년 된 속쓰림 증상 by 말년병장 *1
  3. 동의보감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眼昏] by 한닥터
  4. 기본방 모음 109 사물용담탕(四物龍膽湯) by 한닥터
  5. 방약합편 HK107 洗肝明目湯(세간명목탕) by 한닥터
  6. 방약합편 305. 消毒飮(소독음) by 한닥터
  7. 방약합편 285. 羚羊角散(영양각산) by 한닥터
  8. 방약합편 237. 羚羊角散(영양각산) by 한닥터
  9. 동의보감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과 절[痘後癰癤]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痘後雜病]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눈을 보호하는 것[護眼]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가렵고 아픈 것[痒痛]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독을 푸는 것[解毒]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딱지가 앉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收?時吉凶證]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出痘三朝]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마마를 치료하는 법[痘瘡治法]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밤에 우는 증[夜啼]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나력(??) by *3
  22. 동의보감 변옹(便癰)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식적으로 허리가 아픈 것[食積腰痛]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눈병 때 두루 쓰는 약[通治眼病藥]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눈에 넣는 약[點眼藥]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하나의 물건이 둘로 보이는 것[視一物爲兩]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눈곱이 나오는 것[眼生眵糞]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눈이 아픈 것[眼疼]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예막(瞖膜)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소아태중생췌(小兒胎中生贅)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소아통정(小兒通睛)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소자적맥(小眥赤脈)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황막상충(黃膜上衝)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양극난임(痒極難任)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폭풍객열(暴風客熱)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나오는 것[衝風淚出]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풍적창질(風赤瘡疾)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눈에 피가 진 다음에 예막이 생긴 것[赤眼後生瞖]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천행적목(天行赤目)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눈에 티나 먼지, 연가시가 들어간 것[眯目飛塵飛絲]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혈관동인(血灌瞳人)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동자생예(撞刺生瞖)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피물당타(被物撞打)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녹로전관(轆轤轉關)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선라첨기(旋螺尖起)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신수동통(神祟疼痛)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풍견검출(風牽瞼出)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도첩권모(倒睫拳毛)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풍기와편(風起喎偏)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돌기정고(突起睛高) by 한닥터

1개의 댓글

Profile
웅이아빠
2016.09.01

경효산 經效

제목 조회 수
[풍(風)] 치료할 수 없는 증[不治證] 3 569
[제창(諸瘡)] 나력(??) 3 2813
[신형(身形)] 신형장부도 身形藏府圖 2 4467
[머리(頭)] 허훈(虛暈) 2 1534
[눈(眼)] 간허목암(肝虛目暗) 2 692
[허리(腰)] 접질려서 허리가 아픈 것[挫閃腰痛] 2 1496
[옹저(癰疽)] 옹저 때 번갈이 나는 것[癰疽煩渴] 2 843
[정(精)] 습담(濕痰)이 스며들어 유정(遺精)이 생긴다[濕痰?爲遺精] 1 1447
[혈(血)] 해혈(咳血), 수혈(嗽血), 타혈(唾血), 각혈(?血) 1 1770
[진액(津液)] 맥 보는 법[脈法]/진액 1 746
[폐장(肺臟)] 폐병을 치료하는 법[肺病治法] 1 1433
[포(胞)] 붕루를 치료하는 방법[崩漏治法] 1 2606
[대변(大便)] 농혈리(膿血痢) 1 1286
[머리(頭)] 뇌풍증(腦風證) 1 858
[눈(眼)] 투침(偸鍼) 1 1420
[허리(腰)] 신허로 허리가 아픈 것[腎虛腰痛] 1 1957
[옆구리(脇)] 기울로 옆구리가 아픈 것[氣鬱脇痛] 1 1199
[피부(皮)] 음증의 반진[陰證發?] 1 878
[피부(皮)] 검은 사마귀와 기미[黑??子] 1 1415
[풍(風)] 중풍의 열증[中風熱證] 1 1375
[한(寒)] 음성격양(陰盛隔陽) 1 645
[화(火)] 상초열(上焦熱) 1 1957
[허로(虛勞)] 음과 양이 다 허한 데 쓰는 약[陰陽俱虛用藥] 1 2574
[허로(虛勞)]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1 2604
[허로(虛勞)] 허로를 치료하는 갈가구의 10가지 약[葛可久治虛勞十藥] 1 1298
[적취(積聚)] 6울이 적취, 징가, 현벽의 원인이다[六鬱爲積聚?癖之本] 1 1481
[적취(積聚)] 기울(氣鬱) 1 1165
[창만(脹滿)] 한창(寒脹) 치료법 1 733
[부인(婦人)] 과부나 여승의 병은 부부생활을 하는 부인들의 병과는 다르다[寡婦師尼之病異乎妻妾] 1 1695
[소아(小兒)] 천조경풍(天吊驚風) 1 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