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도엽(倒?)

한닥터 2011.10.21 조회 수 548 추천 수 0
◎ 倒? ○ 痘形陷伏倒?者自其內傷氣虛而不能起發謂之陷伏當溫中托裏宜內托散保元湯(二方見上)自其外感及觸穢而言謂之倒?當溫散寒邪宜調解散若觸穢則?穢散(方見上)熏解之 ○ 當出不出當脹不脹當貫不貫當?不?勻謂之陷伏倒? ○ 痘出或爲風冷所折致水硬宜調解散[入門] ○ 痘白色將?時如豆殼者因初起時飮水多其?不齊俗呼爲倒?但服實表之劑宜保元湯(方見上)[丹心] ○ 痘出不快及倒?宜四聖散加味四聖散(二方見上)[錢氏]

☞ 도엽(倒?)

○ 구슬의 모양이 함복(陷伏)과 도엽(倒?)이 되는 때가 있다. 내상(內傷)으로 기가 허하여 잘 내돋지 못하는 것을 함복이라고 한다. 이때는 반드시 속을 덮게 하고 탁리(托裏)해야 하는데 내탁산(內托散), 보원탕(保元湯, 2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고 풍한(風寒)을 받았거나 더러운 기운에 오염되어 구슬에 딱지가 잘 앉지 않는 것을 도엽이라고 한다. 이때는 한사를 덥게 하여 흩어지게 해야 하는데 조해산(調解散)이 좋다. 만약 더러운 기운에 오염되었으면 벽예산(?穢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태워 연기를 쏘인다. ○ 반드시 내돋아야 할 때 돋지 않고 고름이 잡혀야 할 때 고름이 잡히지 않으며 딱지가 앉아야 할 때 딱지가 앉지 않는 것들은 함복, 도엽이라고 한다. ○ 구슬이 내돋을 때 혹 풍한에 상한 탓으로 구슬이 단단해지면 조해산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구슬이 희고 딱지가 앉으려 할 때 그것이 콩깍지와 같은 것은 구슬이 처음 돋을 때에 물을 많이 마셨기 때문에 딱지가 일제히 앉지 못하는 것이다. 이것을 민간에서 도엽이라고 한다. 다만 표(表)를 실하게 하는 약을 먹어야 하는데 이때는 보원탕(保元湯, 처방은 위에 있다)이 좋다[단심]. ○ 구슬이 시원히 나오지 않는 것과 도엽이 된 데는 사성산(四聖散), 가미사성산(加味四聖散, 2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이 좋다[전씨]. 

? 調解散 ○ 靑皮陳皮桔梗枳殼當歸紫蘇葉半夏川芎紫草茸木通乾葛甘草各三分人參一分半右?作一貼入薑三棗二水煎服[入門]
☞ 조해산(調解散) ○ 선귤껍질(靑皮), 진피,길경, 지각, 당귀, 자소엽,끼무릇(반하), 천궁,자초용, 목통,갈근, 감초 각각 1.2g, 인삼 0.6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인다[입문]. 

? 水楊湯 ○ 治陷伏倒?不起浴之神效(方見上)
☞ 수양탕(水楊湯) ○ 함복과 도엽으로 내돋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목욕하면 잘 낫는다(처방은 위에 있다). 
관련된 글
  1. 기본방 모음 304. 內托散(내탁산) by 한닥터
  2. 방약합편 304. 內托散(내탁산)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임신부에게 생긴 마마를 덧붙임[附孕婦痘瘡] by 한닥터
  4. 동의보감 흑함(黑陷)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추워서 떠는 것[寒戰] by 한닥터
  6. 동의보감 반란(斑爛) by 한닥터
  7. 동의보감 가렵고 아픈 것[痒痛]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저절로 땀이 나는 것[自汗] by 한닥터
  9. 동의보감 번갈(煩渴)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설사(泄瀉)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음성[聲音]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방예하는 법[禳法]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收?三朝]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고름이 잡힐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貫膿時吉凶證]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貫膿三朝]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구슬에 물이 실릴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起脹時吉凶證]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出痘三朝]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마마를 치료하는 법[痘瘡治法]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5장이 서로 억누르는 것[五臟相乘]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나력(??) by 한닥터 *3
  26. 동의보감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처방집 조해산(調解散)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처방집 벽예산( 穢散)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처방집 보원탕(保元湯)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처방집 내탁산(內托散)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사성산(加味四聖散)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처방집 사성산(四聖散)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처방집 사성산(四聖散)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처방집 내탁산(內托散) by 한닥터
  35. 방약합편 121 보원탕(保元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배(腹)] 담음으로 배가 아픈 것[痰飮腹痛] 875
[배(腹)] 충으로 배가 아픈 것[蟲腹痛] 547
[배(腹)] 복통에는 허증과 실증이 있다[腹痛有虛實] 1243
[배(腹)] 냉이 쌓여서 배가 아픈 것[積冷腹痛] 697
[배(腹)] 배가 아프고 구토하면서 설사하는 것[腹痛嘔泄] 2903
[배(腹)] 뱃속이 좁아지는 것[腹中窄狹] 865
[배(腹)] 뱃가죽이 감각이 없거나 아픈 것[腹皮麻痺或痛] 1141
[배(腹)] 뱃속이 끓는 것[腹中鳴] 1216
[배(腹)] 용수증(涌水證) 902
[배(腹)] 여러 가지 배아픈 증[腹痛諸證] 555
[배(腹)] 배가 아픈 데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腹痛宜通利] 756
[배(腹)] 복통을 두루 치료한다[腹痛通治] 941
[배(腹)] 복통의 나쁜 증후[腹痛凶證] 535
[배(腹)] 단방(單方)/배 590
[배(腹)] 침뜸치료[鍼灸法]/배 585
[배꼽(臍)] 배꼽은 몸의 중심에 있다[臍居一身之中] 545
[배꼽(臍)] 배꼽 아래에 단전이 있다[臍下有丹田] 666
[배꼽(臍)] 연제법으로 오래 살게 하는 것[煉臍延壽] 804
[배꼽(臍)] 배꼽을 덥게 하는 것이 좋다[臍宜溫煖] 558
[배꼽(臍)] 뜸 대신 배꼽에 바르는 고약[代灸塗臍膏] 849
[배꼽(臍)] 배꼽을 덥게 하여 아이를 낳게 하는 처방[溫臍種子方] 496
[배꼽(臍)] 배꼽을 덥게 해 주기 위해서 배를 싸매 주는 방법[溫臍兜?方] 554
[배꼽(臍)] 약쑥으로 배꼽을 봉하는 방법[封臍艾] 526
[배꼽(臍)] 배꼽 부위가 툭툭 뛰는 증[臍築證] 1089
[배꼽(臍)] 배꼽병에서 나쁜 증[臍凶證] 752
[배꼽(臍)] 어린이의 배꼽이 헌것[小兒臍瘡] 451
[허리(腰)] 허리 둘레의 치수[腰圍度數] 731
[허리(腰)] 허리는 신에 속한 부이다[腰爲腎府] 930
[허리(腰)] 맥 보는 법[脈法]/허리 647
[허리(腰)] 요통에는 10가지가 있다[腰痛有十] 7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