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임신부에게 생긴 마마를 덧붙임[附孕婦痘瘡]

한닥터 2011.10.21 조회 수 523 추천 수 0
◎ 附孕婦痘瘡 ○ 孕婦發痘瘡宜?胎散熱甚宜參蘇飮(方見寒門)瘡稠密宜內托散(方見上)倍芍藥當歸去桂加香附烏藥胎動宜安胎散[正傳]

☞ 임신부에게 생긴 마마를 덧붙임[附孕婦痘瘡]

○ 임신부에게 마마가 생긴 데는 조태산(?胎散)이 좋다. 열이 심하면 삼소음(參蘇飮,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이 좋고 구슬이 조밀(稠密)하게 돋은 데는 내탁산(內托散, 처방은 위에 있다)에 백작약@)와 당귀를 곱절 넣고 계피는 빼고 향부자와 오약을 더 넣어 쓴다. 태동(胎動)이 있으면 안태산(安胎散)을 쓰는 것이 좋다[정전]. 

? ?胎散 ○ 赤茯?白朮當歸赤芍藥柴胡乾葛人參桔梗條芩防風陳皮荊芥枳殼紫草阿膠白芷川芎縮砂甘草各三分右?作一貼入?米百粒??七箇苧根七寸瓜?一箇以銀器用荷葉盖覆水煎空心服無銀器以砂罐煎之荷葉雖無不妨[正傳]
☞ 조태산(?胎散) ○ 적복령, 백출,당귀, 함박꽃뿌리(작약), 시호, 갈근, 인삼, 길경, 황금,방풍, 진피,형개, 지각, 자초, 갖풀(아교), 백지,천궁,사인, 감초 각각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찹쌀 100알, 감꼭지(시체) 7개, 모시뿌리(저근) 7치, 참외꼭지(과체) 1개와 함께 은그릇에 넣고 연잎을 덮은 다음 물에 달여 빈속에 먹인다. 은그릇이 없으면 사기그릇에 넣어 달인다. 연잎이 없어도 괜찮다[정전]. 

? 安胎散 ○ 人參陳皮大腹皮白朮當歸川芎白芍藥香附子童便炒縮砂紫蘇葉赤茯?甘草各三分右?作一貼入燈心七莖?米百粒同煎服[正傳]
☞ 안태산(安胎散) ○ 인삼, 진피,대복피, 백출,당귀, 천궁,백작약,향부자(동변으로 축여 볶은 것), 사인, 자소엽,적복령, 감초 각각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골풀속살(등심) 7줄기, 찹쌀 100알과 함께 달여 먹인다[정전]. 
관련된 글
  1. 임상 경험방 감기 by 한닥터
  2. 방약합편 삼소음 , 蔘蘇飮, Samsoeum by 한닥터
  3. 방약합편 삼소음 參蘇飮 by 한닥터
  4. 기본방 모음 304. 內托散(내탁산) by 한닥터
  5. 기본방 모음 26삼소음(蔘蘇飮) by 한닥터
  6. 방약합편 HK095 蔘蘇飮(삼소음) by 한닥터
  7. 방약합편 304. 內托散(내탁산) by 한닥터
  8. 동의보감 도엽(倒?) by 한닥터
  9. 동의보감 반란(斑爛)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가렵고 아픈 것[痒痛]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허리와 배가 아픈 것[腰腹痛]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음성[聲音]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貫膿三朝]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구슬에 물이 실릴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起脹時吉凶證]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3일 동안 열이 나는 것[發熱三朝]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풍한에 감촉된 것[感冒風寒]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휵닉, 계종이 경하고 중한 것[????輕重]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태루와 태동[胎漏胎動]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폐옹(肺癰)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돌림기침[天行嗽]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내상과 외상의 감별[辨內外傷證]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조열(潮熱)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임신부의 상한[孕婦傷寒]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감한과 4시상한[感寒及四時傷寒]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상한병의 치료법[傷寒治法]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상한표증(傷寒表證)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상한양증(傷寒陽證)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상풍증(傷風證)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코가 메는 것[鼻塞] by 한닥터
  32. 태암 처방집 三消飮(삼소음) by 한닥터
  33. 방약합편 155. 蔘蘇飮(삼소음)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처방집 안태산(安胎散)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처방집 조태산( 胎散)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처방집 내탁산(內托散)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처방집 안태산(安胎散)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처방집 내탁산(內托散)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처방집 조태산( 胎散)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처방집 삼소음(蔘蘇飮) by 한닥터
  41. 보험 정보 삼소음 - 건강보험 적응증 by 한닥터
  42. 회원임상례 감기로인한 기침 가래(등업용) by 물댄동산 *1
  43. 방약합편 삼소음 - 參蘇飮 by 한닥터
  44. 방약합편 26삼소음(蔘蘇飮)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괴증(壞證) 826
[부인(婦人)] 해산 후의 풍치[産後風?] 826
[소아(小兒)] 밤에 우는 증[夜啼] 826
[소아(小兒)] 골증열(骨蒸熱) 826
[대변(大便)] 구리(久痢) 827
[잡방(雜方)] 복령조화고(茯?造化?) 827
[물고기(魚部)] 비목어(比目魚, 가자미) 827
[꿈(夢)] 양기(陽氣)가 드나드는[出入] 데 따라 자거나 깨어난다[陽氣之出入爲寤寐] 828
[기침(咳嗽)] 해역 때 치료하기 쉬운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咳逆易治難治證] 828
[곡식(穀部)] 출미(?米, 찰기장쌀) 828
[꿈(夢)] 잠자는 것을 음양과 허실로 가른다는 것[睡辨陰陽虛實] 829
[대변(大便)] 풍설(風泄) 829
[위부(胃腑)] 위가 상한 증후[胃傷證] 830
[채소(菜部)] 와거(??, 상추) 830
[오장육부(五臟六腑)] 단방(單方)/5장6부 832
[정(精)] ☞ 도인법(導引法)㈜/정 833
[이빨(牙齒)] 이빨이 누렇거나 거멓게 된 것[齒黃黑] 833
[목구멍(咽喉)] 물고기 가시가 목에 걸린 것[魚骨?] 833
[습(濕)] 습기가 몸에 침습하여도 잘 깨닫지 못한다[濕氣侵人不覺] 833
[눈(眼)] 눈에는 장부의 정기가 나타난다[眼爲臟腑之精] 834
[침구(針灸)] 12경맥의 순행과 수혈[十二經脈流注?穴] 835
[골(骨)] 뼈가 시린 것[骨寒] 835
[옹저(癰疽)] 속에 생겼는가 겉에 생겼는가 하는 것으로 옹과 저를 가른다[內外分癰疽] 835
[언어(言語)] 벙어리가 되어 말을 하지 못하는 것[?不得語] 836
[담음(痰飮)] 담병에는 사수증 같은 것이 있다는 것[痰病有似邪崇] 837
[이빨(牙齒)] 치통에는 7가지가 있다[牙齒痛有七] 837
[심병(審病)] 병에는 5사가 있다[病有五邪] 837
[허로(虛勞)] 허로증에 대맥이 나타나는 것[虛勞脈代證] 837
[내상(內傷)] 수토가 맞지 않아서 생긴 병은 내상과 같다[不伏水土病與內傷同] 838
[담부(膽腑)] 담부에 대한 도인법[膽腑導引法] 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