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大便)

농혈리(膿血痢)

한닥터 2011.07.29 조회 수 1286 추천 수 0
◎ 膿血痢 ○ 如煩燥或先便膿後見血非黃蓮不止此上部血也. ○ 如惡寒脈沈或腰痛臍下痛非黃芩不除此中部血也. ○ 如惡寒脈沈先見血後便膿非地楡不除此下部血也.<易老> ○ 膿血稠粘裏急後重皆屬於火內經曰溲澁而便膿血知氣行而血止也.盖溲澁而便膿血者言病因也.氣行而血止者言治法也.故曰行血則便膿自愈調氣則後重自除芍藥湯主之<易老> ○ 溲澁而便膿血宜大黃湯下之是謂中劑黃芩芍藥湯和之是謂輕劑<易老> ○ 膿血稠粘皆屬於火夫太陰濕主瀉少陰主痢是先泄亡津液而火就燥腎惡燥居下焦血分其受邪者故便膿血所謂瀉屬脾而痢屬腎也.<綱目> ○ 熱積紫黑色者瘀血也.腹痛後重異常桃仁承氣湯(方見寒門)下之要知諸痢皆血瘀惟黑爲瘀甚耳<入門> ○ 膿血痢宜桃花湯(方見寒門)導氣湯黃連阿膠湯導滯湯地楡散解毒金花散芍藥栢皮丸赤石脂丸人參散
 
☞ 농혈리(膿血痢)

  ○ 번조(煩燥)하면서 먼저 곱[膿]이 섞인 대변이 나온 다음에 피가 나오는 것은 황련(黃連)이 아니면 고치지 못한다. 이 피는 위[上]에서 나오는 것이다. ○ 만일 오한(惡寒)이 나고 맥이 침(沈)하면서 혹 허리와 배꼽 아래가 아픈 것은 황금이 아니면 고치지 못한다. 이 피는 가운데에서 나오는 것이다. ○ 오한이 나고 맥이 침하면서 먼저 피가 나온 다음에 곱이 섞인 대변[便膿]이 나오는 것은 지유가 아니면 고치지 못한다. 이 피는 아래에서 나오는 것이다[역로]. ○ 걸쭉한 곱과 피[膿血稠粘]가 나오면서 배가 켕기고 뒤가 무직한 것은 모두 화(火)에 속한다. 『내경』에 "오줌이 잘 나오지 않고[?澁] 대변에 피곱이 섞여 나오면 기를 잘 돌게 해야 한다. 그래야 피곱이 멎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씌어 있다. 오줌이 잘 나오지 않고 대변에 피곱이 섞여 나온다는 것은 병의 원인[病因]을 말한 것이고 기가 돌면 피가 멎는다는 것은 치료하는 방법[治法]을 말한 것이다. 피를 잘 돌게 하면 저절로 곱이 섞인 대변이 나오지 않고 기를 고르롭게[調] 하면 저절로 뒤가 무직한 것이 없어지는데 작약탕을 주로 쓴다[역로]. ○ 오줌이 잘 나오지 않고 대변에 피곱이 섞여 나오면 대황탕으로 설사시키는 것이 좋은데 이것은 이 약이 중제(重劑)라는 것을 말한다. 황금작약탕으로 고르롭게[和] 한다는 것은 이 약이 경제(輕劑)라는 것을 말한다[역로]. ○ 걸쭉한 피곱이 나오는 것은 다 화(火)에 속한다. 대체로 태음습(太陰濕)토는 설사를 주관하고 소음(少陰)은 이질을 주관한다. 그러므로 먼저 설사하여 진액(津液)이 줄어들면 화(火)는 더 조(燥)해진다. 신(腎)은 하초에 있는데 조한 것을 싫어한다. 그러므로 하초혈분(下焦血分)이 사기(邪氣)를 받게 되면 피곱이 섞인 대변이 나오게 된다. 이것이 바로 설사는 비(脾)에 속하고 이질은 신(腎)에 속한다고 한 것이다[강목]. ○ 열이 몰리고[熱積] 검붉은 대변이 나오는 것은 어혈(瘀血)이 있기 때문이다. 배가 아프고 뒤가 무직하면 도인승기탕(桃仁承氣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으로 설사시켜야 한다. 모든 이질은 다 어혈로 생기는데 특히 대변이 거먼 것은 어혈이 심하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입문]. ○ 농혈리에는 도화탕(桃花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도기탕, 황련아교탕, 도체탕, 지유산, 해독금화산, 작약백피환, 적석지환, 인삼산 등을 쓴다. 
 
? 芍藥湯治痢溲澁而便膿血令行血則便膿自愈調氣則後重自除此藥是也.白芍藥二錢黃蓮條芩當歸尾各一錢大黃七分木香檳榔桂心甘草各五分右剉作一貼水煎服<易老>
☞ 작약탕(芍藥湯) ○ 이질로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溲澁] 대변에 피곱이 섞여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피를 잘 돌게 하면 저절로 곱이 나오던 것이 멎고 기(氣)를 고르롭게[調] 하면 저절로 뒤가 무직하던 것이 없어지는데 이 약이 바로 그런 약이다. ○ 백작약 8g, 황련, 황금, 당귀(잔뿌리) 각각 4g, 대황 2.8g, 목향, 빈랑, 계심, 감초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역로]. 
 
? 大黃湯治熱痢膿血稠粘裏急後重日夜無度大黃一兩剉好酒二盞浸半日煎至一盞半去渣分二次頓服以利爲度又服芍藥湯以和之此滌蕩邪熱之劑也.酒煎者欲上至頭頂外徹皮毛也.<易老>
☞ 대황탕(大黃湯) ○ 열리(熱痢)로 걸쭉한 피곱이 나오고 아랫배가 켕기면서[裏急] 뒤가 무직하며[後重] 밤낮으로 한정없이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 대황 40g. ○ 위의 약을 썰어서 좋은 술 2잔에 한나절 동안 담가 두었다가 1잔 반이 되게 달인다. 다음 찌꺼기를 짜버리고 두번에 나누어 먹는데 설사할 때까지 써야 한다. 그 다음 작약탕을 써서 화해시켜야 한다. 이 약은 사열(邪熱)을 내리는 약인데 술에 달여 쓰면 약 기운이 머리로 올라가게 되고 겉으로는 피모(皮毛)에까지 나오게 된다[역로]. 
 
? 黃芩芍藥湯治下痢膿血身熱腹痛脈洪數黃芩白芍藥各二錢甘草一錢右剉作一貼水煎服腹痛甚加桂心三分<丹心> ○ 一名黃芩湯
☞ 황금작약탕(黃芩芍藥湯) ○ 이질로 피곱이 나오고 몸에 열이 나며 배가 아프고 맥이 홍(洪), 삭(數)한 것을 치료한다. ○ 황금, 백작약 각각 8g, 감초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배가 몹시 아프면 계심 1.2g을 넣어 쓴다[단심]. ○ 일명 황금탕(黃芩湯)이라고도 한다. 
 
? 導氣湯治下痢膿血裏急後重當歸二錢半大黃黃芩白芍藥各一錢黃連木香檳榔各五分右剉作一貼水煎服<東垣>
☞ 도기탕(導氣湯) ○ 이질로 피곱이 나오고 속이 켕기며 뒤가 무직한 것을 치료한다. ○ 당귀 6g, 대황, 황금, 백작약 각각 4g, 황련, 목향, 빈랑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 黃連阿膠湯治熱毒下痢膿血或如爛肉汁黃連阿膠珠黃栢梔子各一錢二分半右剉作一貼水煎服<海藏>
☞ 황련아교탕(黃連阿膠湯) ○ 열독(熱毒)으로 이질이 생겨 피곱이 나오거나 썩은 고기즙(爛肉汁) 같은 것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 황련, 아교주, 황백, 산치자 각각 5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해장]. 
 
? 導滯湯治下痢膿血裏急後重腹痛作渴日夜無度白芍藥二錢當歸黃芩黃連各一錢大黃七分桂心木香檳榔甘草各三分右剉作一貼空心水煎服<入門>
☞ 도체탕(導滯湯) ○ 이질로 피곱이 나오며 뱃속이 켕기고 뒤가 무직하면서 배가 아프며 목이 마르고 밤낮으로 한정없이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 백작약 8g, 당귀, 황금, 황련 각각 4g, 대황 2.8g, 계심, 목향, 빈랑, 감초 각각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빈속에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 地楡散治熱毒下痢膿血地楡犀角黃連炒葛根黃芩各一錢梔子五分右剉作一貼入薤白五莖同煎服<活人>
☞ 지유산(地楡散) ○ 열독(熱毒)으로 이질이 생겨 피곱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 지유, 서각, 황련(볶은 것), 갈근, 황금 각각 4g, 산치자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해백 5개와 함께 달여 먹는다[활인]. 
 
? 解毒金花散治熱毒膿血痢黃連黃栢各二錢白朮黃芩赤茯苓赤芍藥各一錢右剉作一貼水煎服<丹心>
☞ 해독금화산(解毒金花散) ○ 열독(熱毒)으로 이질이 생겨 피곱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 황련, 황백 각각 8g, 백출, 황금, 적복령, 작약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 芍藥栢皮丸治濕熱惡痢下膿血白芍藥黃栢皮各一兩當歸黃連各五錢右爲末水丸小豆大溫水下三四十丸<子和>
☞ 작약백피환(芍藥柏皮丸) ○ 습열로 독한 이질이 생겨 피곱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 백작약, 황백 각각 40g, 당귀, 황련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반죽하여 팥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40알씩 따뜻한 물로 먹는다[자화]. 
 
? 赤石脂丸治下痢膿血腹痛赤石脂乾薑各一兩黃連當歸各二兩右爲末蜜丸梧子大米飮下三五十丸空心<入門>
☞ 적석지환(赤石脂丸) ○ 이질로 피곱이 나오면서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적석지, 건강 각각 40g, 황련, 당귀 각각 8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봉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빈속에 미음으로 먹는다[입문]. 
 
? 人參散治酒毒挾熱下痢膿血腹痛久不差百藥無效樗根白皮人參各一兩右爲末每二錢空心米飮調下忌酒麵鷄猪魚果菜等物<本事>
☞ 인삼산(人蔘散) ○ 술독[酒毒]과 열이 겹쳐서[挾] 생긴 이질로 피곱이 나오면서 배가 아픈 것이 오랫동안 낫지 않아 여러 가지 약을 썼으나 효과가 없는 것을 치료한다. ○ 가죽나무껍질(저근백피), 인삼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빈속에 미음에 타 먹는다. 술, 국수, 닭고기, 돼지고기, 물고기, 과실, 채소 등을 먹지 말아야 한다[본사]. 
 
관련된 글
  1. 저널 黃芩芍藥湯 煎湯液이 血漿 Cortisol 및 鎭痛에 미치는 影響 by 한닥터
  2. 회원임상례 (등업용)87세 변비환자에 대해 조위승기탕Vs 도인승기탕 by 하니사랑
  3. 방약합편 황련아교탕 黃連阿膠湯 by 한닥터
  4. 기본방 모음 89. 桃核承氣湯(도핵승기탕) by 한닥터
  5. 기본방 모음 13 도인승기탕(桃仁承氣湯) by 한닥터
  6. 기본방 모음 89. 桃核承氣湯(도핵승기탕) by 한닥터
  7. 기본방 모음 13 도인승기탕(桃仁承氣湯) by 한닥터
  8. 기본방 모음 314. 黃連阿膠湯(황련아교탕) by 한닥터
  9. 기본방 모음 94 도체탕(導滯湯) by 한닥터
  10. 기본방 모음 93 황금작약탕(黃芩芍藥湯) by 한닥터
  11. 기본방 모음 314. 黃連阿膠湯(황련아교탕) by 한닥터
  12. 회원임상례 (등업용)心中煩 不得臥 by 짜장 *1
  13. 회원임상례 (등업용) 발목염좌 by 무사님 *1
  14. 동의보감 넘어졌거나 얻어맞았거나 떨어졌거나 깔려 상한 것[ 撲墮落壓倒傷]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장옹과 복옹[腸癰腹癰]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학질은 낮에 발작하는 것과 밤에 발작하는 것을 반드시 갈라서 치료해야 한다[?晝發夜發宜分治]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혈적(血積)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담수(痰嗽)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구토, 열격, 반위 때에는 대변을 통하게 해야 한다[嘔吐?膈反胃宜通大便]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술에서 깨게 하고 취하지 않게 하는 것[醒酒令不醉]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술로 생긴 병을 치료하는 법[酒病治法]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중초열(中焦熱)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열이 혈실에 들어간 증[熱入血室證]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상한 때의 흉통(胸痛)과 복통(腹痛)[傷寒胸腹痛]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상한 때의 혈증[傷寒血證]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소음병에 꺼릴 것[少陰病禁忌]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소음병 때 저절로 설사하는 것[少陰病自利]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소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少陰形證用藥]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혈산에 쓰는 약[血疝藥]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어혈로 옆구리가 아픈 것[死血脇痛]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어혈로 허리가 아픈 것[瘀血腰痛]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궂은 피로 배가 아픈 것[死血腹痛]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어혈로 생긴 위완통[瘀血胃脘痛]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어혈로 이빨이 아픈 것[瘀血痛]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입술이 붓거나 허는 것[唇腫唇瘡]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이질을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治痢要訣]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5색리(五色痢)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열리(熱痢)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적리(赤痢) by
  41. 동의보감 설사증에는 5가지가 있다[泄證有五] by
  42. 동의보감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小便不通]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5가지 빛깔의 이슬[五色帶下]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피똥[便血]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구혈(嘔血)과 토혈(吐血)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축혈증(蓄血證) by 한닥터
  47. 방약합편 314. 黃連阿膠湯(황련아교탕) by 한닥터
  48. 방약합편 90. 桃花湯(도화탕) by 한닥터
  49. 방약합편 89. 桃核承氣湯(도핵승기탕)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처방집 인삼산(人蔘散) by 한닥터

1개의 댓글

Profile
웅이아빠
2016.09.01

지유산 갈근을 천초근

제목 조회 수
[대변(大便)] 대변이 만들어지는 경위[大便原委] 858
[대변(大便)] 대변병의 원인[大便病因] 841
[대변(大便)] 대변빛으로 갈라보는 방법[辨便色] 771
[대변(大便)] 맥 보는 법[脈法]/대변 718
[대변(大便)] 설사증에는 5가지가 있다[泄證有五] 1116
[대변(大便)] 여러 가지 설사증[泄瀉諸證] 1179
[대변(大便)] 습설(濕泄) 1161
[대변(大便)] 풍설(風泄) 829
[대변(大便)] 한설(寒泄) 1127
[대변(大便)] 서설(暑泄) 1232
[대변(大便)] 화설(火泄) 946
[대변(大便)] 허설(虛泄) 1140
[대변(大便)] 활설(滑泄) 1155
[대변(大便)] 손설(飱泄) 1512
[대변(大便)] 담설(痰泄) 1086
[대변(大便)] 식적설(食積泄) 1317
[대변(大便)] 주설(酒泄) 1233
[대변(大便)] 비설(脾泄) 1152
[대변(大便)] 신설(腎泄) 1022
[대변(大便)] 폭설(暴泄) 846
[대변(大便)] 구설(久泄) 1126
[대변(大便)] 설사에는 양기를 끌어올리는 약을 써야 한다[泄瀉宜用升陽之藥] 820
[대변(大便)] 설사와 이질은 같지 않다[瀉與痢不同] 730
[대변(大便)] 오랜 설사가 이질이 된다[久泄成痢] 740
[대변(大便)] 이질의 여러 가지 병증[痢疾諸證] 626
[대변(大便)] 적리(赤痢) 1098
[대변(大便)] 백리(白痢) 908
[대변(大便)] 적백리(赤白痢) 729
[대변(大便)] 수곡리 641
[대변(大便)] 농혈리(膿血痢) 1 1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