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속에 생겼는가 겉에 생겼는가 하는 것으로 옹과 저를 가른다[內外分癰疽]

한닥터 2011.10.04 조회 수 835 추천 수 0
◎ 內外分癰疽 ○ 內疽者皆因飮食之火挾七情之火相鬱而叢飮食者陰受之七情者藏府受之宜其發在腔子而向裏非于腸胃?膜也謂之內疽者以其視之不見故名焉[綱目] ○ 發於內者曰肺癰心癰肝癰腎癰胃脘癰腸癰腹癰 ○ 發於外者曰?癰乳癰臀癰懸癰便癰囊癰附骨疽流注骨疽?疽 ○ 內疽施點陰膠法次服仙方活命飮(方見上)內消沃雪湯[綱目] ○ 內疽用內托之藥外以鍼開之而愈先用四物湯(方見血門)加桔梗香附生薑煎服潰後亦用四物調理雲母膏太乙膏作丸兼服[丹心]

☞ 속에 생겼는가 겉에 생겼는가 하는 것으로 옹과 저를 가른다[內外分癰疽]

 ○ 내저(內疽)는 다 음식의 화(火)와 7정의 화가 뒤섞여 몰려서 생긴 것인데 음식의 화는 음부위에 생기고 7정의 화는 장부(藏府)에 생긴다. 내저는 몸통 속에 생겨 속으로 향하는데 장위(腸胃)나 황막에는 관계없다. 내저란 보이지 않는 곳에 생긴다는 뜻에서 지은 이름이다[강목]. ○ 내장에 생기는 것은 폐옹(肺癰), 심옹(心癰), 간옹(肝癰), 신옹(腎癰), 위완옹(胃脘癰), 복옹(腹癰)이다. ○ 겉에 생기는 것은 비옹(臂癰), 유옹(乳癰), 둔옹(臀癰), 현옹(懸癰), 변옹(便癰), 낭옹(囊癰), 부골저(附骨疽), 유주골저(流注骨疽), 정저(?疽)이다. ○ 내저(內疽)에는 음교(陰膠)를 넣는 방법을 쓴 다음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 처방은 위에 있다), 내소옥설탕을 써야 한다[강목]. ○ 내저는 내탁하는 약을 쓰고 침으로 째면 낫는다.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길경, 향부자, 생강을 넣어서 달여 먹고 터진 뒤에 또 사물탕을 써서 조리해야 한다. 그리고 겸해서 운모고, 태을고로 알약을 만들어 먹어야 한다[단심]. 

? 點陰膠法 ○ 欲知內疽所在點陰膠少許於口中卽知藏府所起直達至住處知痛足可醫也陰膠卽是久用甑中氣垢也 ○ 雷公云知瘡所在口點陰膠[本草]
☞ 음교를 넣는 방법[點陰膠法] ○ 내저(內疽)가 어느 장부에 생겼는가 하는 것은 음교를 입안에 조금 넣어 보면 알 수 있다. 그것은 음교가 내저가 생긴 곳까지 곧바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아픈 것을 느끼는 것은 치료할 수 있다. 음교란 바로 오랫동안 쓴 시루 안에 김이 올라서 생긴 때이다. 뇌공(雷公)이 "내저가 있는 곳을 알려면 입안에 음교를 넣어보아야 한다"고 하였다[본초]. 
관련된 글
  1. 임상 경험방 소변-임병 by 한닥터
  2. 임상 경험방 변비 by 한닥터
  3. 임상 경험방 by 한닥터
  4. 방약합편 사물탕 , 四物湯, Samul-tang by 한닥터
  5. 방약합편 사물탕 四物湯 by 한닥터
  6. 회원임상례 등업 부탁드립니다. -전근 by docjimmy
  7. 방약합편 HK105 仙方活命飮(선방활명음) by 한닥터
  8. 방약합편 HK092 四物湯(사물탕) by 한닥터
  9. 방약합편 HH246 仙方活命飮(선방활명음) by 한닥터
  10. 방약합편 168. 仙方活命飮(선방활명음) by 한닥터
  11. 회원임상례 (등업용)임신중 소양증의 치료. by 애스톤마틴 *1
  12. 동의보감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해산할 임박에 미리 갖추고 있어야 할 약품[臨産預備藥物]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아이를 낳지 못하게 하는 것[斷産]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임신 때 두루 쓰는 약[姙娠通治]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달이 지났어도 해산하지 못하는 것[過月不産]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해산 후의 치료법[産後治法]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해산 후의 설사와 이질[産後泄痢]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해산 후에 명치 밑과 허리, 옆구리가 아픈 것[産後心腹腰脇痛]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해산 후의 두통[産後頭痛]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자궁이 탈출된 것을 치료한 경험[陰脫治驗]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해산 후의 자궁탈출이 된 것[産後陰脫]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혈붕(血崩)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임신부가 말을 못하는 것[孕婦不語]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자간(子癎)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태루와 태동[胎漏胎動]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임신할 수 있게 하는 법[求嗣]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신장풍창(腎臟風瘡)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옹저에 두루 쓰는약[癰疽通治藥]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탈저정(脫疽?)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변옹(便癰)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현옹(懸癰)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둔옹(臀癰)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장옹과 복옹[腸癰腹癰]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위완옹(胃脘癰)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폐옹(肺癰) by
  38. 동의보감 옹저에 약을 뿌리고 붙이는 방법[癰疽?貼法] by
  39. 동의보감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by
  40. 동의보감 음저를 겉으로 나오게 하는 방법[陰疽起發法] by
  41. 동의보감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by
  42. 동의보감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이질을 앓고 난 뒤에 생기는 해역[痢後咳逆]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음이 허하여 생긴 천식[陰虛喘]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건수(乾嗽)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노수(勞嗽)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기침이 발작하는 것은 4철에 따라 일찍 하거나 늦게 하는 차이가 있다[嗽作有四時早晏之異]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by 한닥터
  49. 회원임상례 (등업용) 당뇨병(상소증)에 유용한 처방 2가지. by 610호 총각 *1
  50. 동의보감 곽란을 앓은 뒤에 힘줄이 뒤틀리는 것[?亂後轉筋]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옹저의 원인[癰疽發病之原] 736
[옹저(癰疽)] 옹저의 전구증상[癰疽欲發之候] 490
[옹저(癰疽)] 옹저의 이름과 생김새[癰疽名狀] 531
[옹저(癰疽)] 옹저 때 부으면서 아프고 가려운 원인[癰疽腫痛痒之因] 533
[옹저(癰疽)] 옹저가 경하고 중한 것과 얕고 깊은 것을 구분하는 것[癰疽輕重淺深之辨] 461
[옹저(癰疽)] 옹저가 생기면 죽을 수 있는 부위가 따로 있다[定癰疽死之部分] 519
[옹저(癰疽)] 옹저 때에는 속에 생긴 것과 겉에 생긴 것을 구분해야 한다[癰疽當分內外] 543
[옹저(癰疽)] 옹저 때는 반드시 어느 경락과 관련된 것인가를 가려 보아야 한다[癰疽當分經絡] 524
[옹저(癰疽)] 옹저 때의 맥[癰疽脈] 471
[옹저(癰疽)] 옹저 때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하지 못할 증상[癰疽難治不治證] 498
[옹저(癰疽)] 옹저 때는 고름이 있는가 없는가 얕은 곳에 있는가 깊은 곳에 있는가를 구분해야 한다[癰疽辨膿有無及淺深] 474
[옹저(癰疽)] 옹저 주위에 무리가 생기는 것[癰疽發暈] 449
[옹저(癰疽)] 옹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癰疽死證] 490
[옹저(癰疽)] 옹저 때 좋거나 나쁜 증상[癰疽善惡證] 535
[옹저(癰疽)]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1276
[옹저(癰疽)]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1149
[옹저(癰疽)] 음저를 겉으로 나오게 하는 방법[陰疽起發法] 845
[옹저(癰疽)]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1446
[옹저(癰疽)] 옹저에 구멍을 내어 고름을 빼내는 방법[癰疽作穴出膿法] 1111
[옹저(癰疽)] 옹저 때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방법[癰疽排膿生肌法] 1111
[옹저(癰疽)] 옹저 때 헌데 구멍이 깊고 큰 데 쓰는 약[癰疽瘡口深大方] 658
[옹저(癰疽)] 옹저 때 궂은 살을 없애는 방법[癰疽去惡肉方] 688
[옹저(癰疽)] 옹저 때 달임약물로 씻는 방법[癰疽湯洗法] 655
[옹저(癰疽)] 옹저에 약을 뿌리고 붙이는 방법[癰疽?貼法] 1045
[옹저(癰疽)] 참대대롱으로 독기를 빨아내는 방법[竹筒吸毒方] 522
[옹저(癰疽)] 속에 생겼는가 겉에 생겼는가 하는 것으로 옹과 저를 가른다[內外分癰疽] 835
[옹저(癰疽)] 폐옹(肺癰) 1263
[옹저(癰疽)] 심옹(心癰) 852
[옹저(癰疽)] 간옹(肝癰) 916
[옹저(癰疽)] 신옹(腎癰) 8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