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음극사양(陰極似陽)

한닥터 2011.09.08 조회 수 862 추천 수 0
◎ 陰極似陽 ○ 陽邪不深不能至于厥逆陰邪不甚不能至於煩躁此水極似火火極似水謂之反化亢極則害之之義也陰證之極火浮於外發躁擾亂狀若陽證然身雖煩躁而引衣自覆口雖燥渴而漱水不下脈必沈細無力此陰極似陽也宜通脈四逆湯[入門] ○ 煩極而反發厥乃陰所致言熱極則反與陰盛發躁一同必以四逆湯理中湯治之[入門]

☞ 음극사양(陰極似陽)

 ○ 양사(陽邪)가 심하지 않으면 궐역(厥逆)까지는 되지 않고 음사(陰邪)가 심하지 않으면 번조증까지는 되지 않는다. 수(水)가 극도에 달하면 화(火) 같아지고 화가 극도에 달하면 수 같아진다는 것은 반대로 작용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인데 하나가 지나치면 해가 된다는 뜻이다. 음증이 극도에 달하면 화가 겉으로 나와서 요란스럽게 날치게 되는데 그 증상은 양증 비슷하다. 그러나 이때에는 번조(煩燥)해 하면서도 이불을 당겨 덮고 갈증이 심하게 나나 물로 양치만 하고 마시지는 않는다. 이때의 맥은 반드시 침세(沈細)하면서 힘이 없다. 이것이 음극사양증(陰極似陽證)이다. 이런 데는 통맥사역탕을 쓴다[입문]. ○ 몹시 답답하면서도 몸이 싸늘해지는[厥] 원인은 음에 있다. 이것은 열(熱)이 극도에 도달하면 도리어 음(陰)이 성(盛)하여 번조증이 생기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런 데는 반드시 사역탕이나 이중탕을 써야 한다[입문]. 
관련된 글
  1. 저널 레이노병의 변증과 처방에 관한 문헌적 고찰 - 중국 논문 중심으로 - by 한닥터
  2. 방약합편 이중탕 , 理中湯, Yijung-tang by 한닥터
  3. 방약합편 이중탕, 인삼탕 理中湯,人蔘湯 by 한닥터
  4. 기본방 모음 149. 四逆湯(사역탕) by 한닥터
  5. 기본방 모음 238. 人蔘湯(인삼탕)=理中湯(이중탕) by 한닥터
  6. 방약합편 HK175 理中湯(이중탕) by 한닥터
  7. 기본방 모음 238. 人蔘湯(인삼탕)=理中湯(이중탕) by 한닥터
  8. 기본방 모음 6 이중탕(理中湯) by 한닥터 *1
  9. 회원임상례 (등업용입니다) 사지궐랭,복랭,생리통 by 열별 *1
  10. 동의보감 구토(嘔吐)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배가 아프고 불러 오르는 것[腹痛腹脹]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토하고 설사하는 것[吐瀉]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음황(陰黃)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곽란을 앓은 뒤에 힘줄이 뒤틀리는 것[?亂後轉筋]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습곽란을 치료하는 방법[濕?亂治法]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건곽란을 치료하는 방법[乾?亂治法]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안개와 이슬의 맑고 탁한 사기가 사람에게 침습한다[霧露淸濁之邪中人]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상한병의 치료법[傷寒治法]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상한에 회충을 토하는 것[傷寒吐蛔]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상한에 저절로 설사가 나는 것[傷寒自利]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상한동기(傷寒動氣)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상한전율(傷寒戰慄)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상한음궐(傷寒陰厥)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상한의 반표반리증[傷寒半表半裏證]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궐음병 때 손발이 싸늘한 것[厥陰病手足厥冷]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소음병에 꺼릴 것[少陰病禁忌]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소음병 때 저절로 설사하는 것[少陰病自利]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소음병 때에 맥이 끊어지는 것[少陰病脈絶]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소음병 때에는 맥이 침하다[少陰病脈沈]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소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少陰形證用藥]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태음병 때에 황달이 생기는 것[太陰病發黃]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태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약 쓰는 방법[太陰形證用藥]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양감상한은 죽을 병이다[兩感傷寒爲死證]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설사를 몹시 시킨 다음 설사가 멎지 않는 것[大下後難禁]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분돈산기(奔豚疝氣)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배꼽 부위가 툭툭 뛰는 증[臍築證]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뱃속이 끓는 것[腹中鳴]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배가 아프고 구토하면서 설사하는 것[腹痛嘔泄]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복통에는 허증과 실증이 있다[腹痛有虛實]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배 아픈 부위가 다르다[腹痛有部分]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허화로 입 안이 허는 것[虛火口瘡]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얼굴에 생긴 대양증[面戴陽證]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구리(久痢)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허리(虛痢)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한리(寒痢)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폭설(暴泄)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주설(酒泄)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한설(寒泄)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여러 가지 설사증[泄瀉諸證]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회궐로 충을 토하는 것[蛔厥吐蟲] by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탕액서례(湯液序例)] 달임약, 가루약, 알약을 만드는 방법[湯散丸法] 861
[진액(津液)] 신은 액을 주관한다[腎主液] 862
[포(胞)] 자궁에 찬 기운이 들어간 것[寒入血室] 862
[한(寒)] 음극사양(陰極似陽) 862
[한(寒)] 상한 때의 비기[傷寒?氣] 862
[한(寒)] 상한병이 나은 뒤의 잡증[傷寒差後雜證] 862
[화(火)] 골증에서 치료할 수 없는 증[骨蒸不治證] 862
[잡방(雜方)] 녹각교와 녹각상을 만드는 방법[煮鹿角膠霜法] 862
[부인(婦人)] 아들인가 딸인가를 알아내는 법[辨男女法] 862
[새(禽部)] 웅작육(雄鵲肉, 수까치고기) 862
[진맥(診脈)] 늙은이와 젊은이의 맥과 남자와 여자의 맥이 다르다[老少男女異脈] 863
[옹저(癰疽)] 옹저에 두루 쓰는약[癰疽通治藥] 863
[부인(婦人)] 해산 후의 치료법[産後治法] 863
[정(精)] 침구법[鍼灸法]/정 864
[맥(脈)] 맥병에 쓰는 약[脈病藥餌] 864
[기(氣)] 기가 끊어진 증후[氣絶候] 865
[비장(脾臟)] 비장의 형태[脾形象] 865
[충(蟲)] 회궐로 충을 토하는 것[蛔厥吐蟲] 865
[배(腹)] 뱃속이 좁아지는 것[腹中窄狹] 865
[담음(痰飮)] 8가지 음병(飮病)이 있다[飮病有八] 866
[황달(黃疸)] 황달을 두루 치료하는 약[黃疸通治藥] 866
[소아(小兒)] 전간(癲癎)/소아 866
[오장육부(五臟六腑)] 의사는 반드시 5장 6부를 알아야 한다[醫當識五臟六腑] 867
[오줌(小便)] 오줌이 만들어지는 경위[小便原委] 867
[풍(風)] 중풍의 허증[中風虛證] 867
[채소(菜部)] 목이(木耳, 나무버섯) 상이(桑耳, 뽕나무버섯) 괴이(槐耳, 홰나무버섯) 마고(?菰, 표고버섯) 석이(石耳) 균자(菌子, 땅버섯) 867
[신(神)] 다섯 가지 맛에서 신이 생긴다[五味生神] 868
[가슴(胸)] 수결흉(水結胸) 868
[습(濕)] 습병에 땀을 몹시 내면 치병이 된다[濕病大汗則成?] 868
[부종(浮腫)] 부종의 형태와 증상[浮腫形證] 8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