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상한동기(傷寒動氣)

한닥터 2011.09.08 조회 수 714 추천 수 0
◎ 傷寒動氣 ○ 動氣者爲築築然動跳於腹者是也[明理] ○ 病人先有五積在腹中或臍上下左右復因傷寒新邪與舊積相搏而痛築築然跳動名曰動氣大?虛者理中湯去白朮加肉桂熱者宜柴胡桂枝湯[入門] ○ 五積中惟臍下奔豚衝心最急桂枝湯加桂一倍[入門]

☞ 상한동기(傷寒動氣)

 ○ 동기(動氣)라는 것은 배에서 툭툭 뛰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명리]. ○ 환자에게 본래 뱃속에 5가지 적(積)이 있는데 혹 배꼽의 위아래나 좌우에 있을 때 또 한사(寒邪)에 상하게 되면 이 새로운 사기가 이미 있던 적과 서로 부딪치게 된다. 그러면 배가 아프면서 툭툭 뛰는데 이것을 동기(動氣)라고 한다. 이런 때에는 허하면 이중탕에서 백출를 빼고 대신 육계를 넣어 쓰며 열이 있으면 시호계지탕을 쓴다[입문]. ○ 5가지 적[五積] 가운데서 배꼽 아래에 있던 분돈기운이 가슴으로 치미는 것이 제일 위급한 것인데 이런 때에는 계지탕에 계지를 곱으로 넣어 써야 한다[입문]. 
관련된 글
  1. 명의방론 시호계지탕 – 감염질환, 복통에서 신경계 각종 증후까지 총망라② by 한닥터
  2. 명의방론 시호계지탕–감염질환, 복통에서 신경계 각종 증후까지 총망라① by 한닥터
  3. 회원임상례 등업용) 방사선 치료 중 설사 by 하늘곰
  4. 방약합편 이중탕 , 理中湯, Yijung-tang by 한닥터
  5. 방약합편 이중탕, 인삼탕 理中湯,人蔘湯 by 한닥터
  6. 기본방 모음 238. 人蔘湯(인삼탕)=理中湯(이중탕) by 한닥터
  7. 방약합편 HK175 理中湯(이중탕) by 한닥터
  8. 방약합편 HK144 柴胡桂枝湯(시호계지탕) by 한닥터
  9. 기본방 모음 41. 桂枝湯(계지탕)=陽旦湯(양단탕) by 한닥터
  10. 기본방 모음 238. 人蔘湯(인삼탕)=理中湯(이중탕) by 한닥터
  11. 기본방 모음 6 이중탕(理中湯) by 한닥터 *1
  12. 기본방 모음 002 桂枝湯(계지탕) by 한닥터
  13. 기본방 모음 184. 柴胡桂枝湯(시호계지탕) by 한닥터
  14. 기본방 모음 41. 桂枝湯(계지탕)=陽旦湯(양단탕) by 한닥터
  15. 기본방 모음 056. 柴胡桂枝湯(시호계지탕) by 한닥터
  16. 방약합편 HK038 桂枝湯(계지탕) by 한닥터
  17. 방약합편 056. 柴胡桂枝湯(시호계지탕) by 한닥터
  18. 방약합편 002 桂枝湯(계지탕)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구토(嘔吐)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배가 아프고 불러 오르는 것[腹痛腹脹]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토하고 설사하는 것[吐瀉]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학질을 치료하는 방법[?疾治法]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6경 학질[六經?]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음황(陰黃)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곽란을 앓은 뒤에 힘줄이 뒤틀리는 것[?亂後轉筋]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습곽란을 치료하는 방법[濕?亂治法]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건곽란을 치료하는 방법[乾?亂治法]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안개와 이슬의 맑고 탁한 사기가 사람에게 침습한다[霧露淸濁之邪中人]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땀을 내야 할 증과 땀을 내서는 안될 증[可汗不可汗證]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상한병의 치료법[傷寒治法]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상한에 회충을 토하는 것[傷寒吐蛔]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상한에 저절로 설사가 나는 것[傷寒自利]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상한 때의 혈증[傷寒血證]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동기가 아래에 있는 것[動氣在下]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상한전율(傷寒戰慄)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번조증이 나다가 다리가 가드라드는 것[煩躁脚攣]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음극사양(陰極似陽)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상한음궐(傷寒陰厥)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상한의 반표반리증[傷寒半表半裏證]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상한양증(傷寒陽證)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소음병 때 저절로 설사하는 것[少陰病自利]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태음병 때에 황달이 생기는 것[太陰病發黃]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태음병 때 배가 아픈 것[太陰病腹痛]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태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약 쓰는 방법[太陰形證用藥]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태양축혈(太陽畜血)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태양상풍(太陽傷風)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태양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太陽形證用藥]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양감상한은 죽을 병이다[兩感傷寒爲死證]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설사를 몹시 시킨 다음 설사가 멎지 않는 것[大下後難禁]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표증, 이증, 허증, 실증에 쓰는 약[表裏虛實藥]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진맥(診脈)] 늙은이와 젊은이의 맥과 남자와 여자의 맥이 다르다[老少男女異脈] 863
[진맥(診脈)] 살이 쪘거나 여윈 것, 키가 크거나 작은 데 따라 맥이 다르다[肥瘦長短異脈] 485
[진맥(診脈)] 모든 맥의 중요한 지침[諸脈綱領] 480
[진맥(診脈)] 모든 맥에 따르는 병증[諸脈病證] 512
[진맥(診脈)] 죽을 수 있는 것을 예견하는 여러 가지 맥[諸死脈] 485
[진맥(診脈)] 10가지 이상한 맥[十怪脈] 628
[용약(用藥)] 최근의 의학이론에 대하여[近世論醫] 504
[용약(用藥)] 형기(形氣)의 상태에 따라 보(補)하거나 사(瀉)해야 한다[形氣用補瀉] 587
[용약(用藥)] 약을 쓰는 대체적 방법[用藥大體] 533
[용약(用藥)] 수와 화를 갈라 치료하는 데 대한 노래[水火分治歌] 627
[용약(用藥)] 표본을 갈라 치료하는 데 대한 노래[標本分治歌] 492
[용약(用藥)] 병을 치료할 때에는 반드시 본을 치료해야 한다[治病必求於本] 581
[용약(用藥)] 병이 급할 때에는 표를 치료하고 완만할 때에는 본을 치료해야 한다[急則治標緩則治本] 407
[용약(用藥)] 표와 본에 생긴 병에 약쓰는 선후차[標本用藥先後] 457
[용약(用藥)] 태양과 소음의 표병과 본병에 약을 다르게 쓴다[太陽少陰標本異藥] 459
[용약(用藥)] 자연과 조화되는 것이 상하지 않게 해야 한다[毋伐天和] 435
[용약(用藥)] 약을 쓰는 기본 방법[用藥大法] 484
[용약(用藥)] 약을 쓸 때에는 반드시 시금(時禁), 경금(經禁), 병금(病禁), 약금(藥禁)을 알아야 한다[凡用藥必知時禁經禁病禁藥禁] 502
[용약(用藥)] 5가지 울증에 대한 치료법[五鬱治法] 594
[용약(用藥)] 약은 병에 맞게 변통해서 써야 한다[用藥權變] 389
[용약(用藥)] 땀을 내거나 설사시킬 때 주의해야 할 점[汗下之戒] 404
[용약(用藥)] 유능한 의사는 병이 생기기 전에 치료한다[上工治未病] 441
[용약(用藥)] 허하고 실한 데 따라 보하거나 사해야 한다[虛實補瀉] 471
[용약(用藥)] 보하고 사하는 묘한 비결[補瀉妙訣] 504
[용약(用藥)] 보하는 것과 사하는 것이 겸(兼)해진 것[補瀉相兼] 474
[용약(用藥)] 소속을 찾아 치료하는 방법[求屬之法] 397
[용약(用藥)] 병을 치료하는 3가지 방법[治病三法] 490
[용약(用藥)] 병을 치료하는 5가지 방법[療病五法] 533
[용약(用藥)] 생리작용의 근원을 보하는 것[滋化源] 3286
[용약(用藥)] 자모보사[子母補瀉] 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