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한닥터 2011.10.18 조회 수 802 추천 수 0
◎ 出痘時吉凶證 ○ 痘瘡始出如粟米大或如黍米大或如菉豆大似水珠光澤明?者吉 ○ 痘一出卽變黑者腎證也此爲惡候保元湯(方見下)加紫草紅花救之 ○ 痘出紅赤以手摸過皮軟不碍指者名曰賊痘過三日變成水疱甚至紫黑疱此危證也保元湯加紫草蟬殼紅花解之已成水疱則保元湯加四?散(方見寒門)利之此妙法也不然則遍身爪破赤爛而死 ○ 發熱出痘時頭面上有一片色如?脂者凶 ○ 出痘時發紅?如錦紋者六七日後決死急用化毒湯加紅花黃芩升麻救之變黑?則卽死[醫鑑]

☞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 마마의 구슬이 갓 돋았을 때의 크기가 좁쌀 같거나 기장쌀 같거나 녹두알 같으면서 물방울처럼 윤기가 있고 맑은 것은 좋다. ○ 마마의 구슬이 한번 돋았다가 곧 검은 빛으로 변하는 것은 신(腎)과 관련된 증상인데 좋지 못한 증후이다. 이때는 보원탕(保元湯, 처방은 아래에 있다)에 자초와 잇꽃(홍화)을 더 넣어 쓴다. ○ 구슬빛이 붉어도 손으로 만져 보면 물렁물렁하고 거치적거리지 않는 것은 적두(賊痘)라고 하는데 3일이 지나면 수포로 변하고 심한 것은 자흑색의 물집이 생긴다. 이것은 위험한 증상이다. 그러므로 보원탕에 자초와 선각,잇꽃(홍화) 등을 더 넣어 독을 풀어 주고 이미 수포가 되었으면 보원탕에 사령산(四?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더 넣어 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이것이 묘한 치료방법이다. 그렇지 않고 만약 온몸을 손톱으로 긁어 터뜨려서 벌겋게 문드러지면 죽을 수 있다. ○ 열이 나고 구슬이 내돋을 때에 머리나 얼굴에 연지빛 같은 것이 한 군데 나타나면 예후가 나쁘다. ○ 구슬이 내돋을 때에 비단 무늬 같은 붉은 반진이 나오는 것은 6-7일 후에는 죽으므로 빨리 화독탕에 잇꽃(홍화)과 황금,승마 등을 더 넣어 치료해야 한다. 검은 반진으로 변해도 곧 죽는다[의감]. 

? 消毒飮 ○ 治痘不快出及胸前稠密急用三四服快透解毒神效鼠粘子二錢荊芥穗一錢生甘草防風各五分右?作一貼水煎服或加山?子酒芩紫草服或和犀角磨汁服尤佳[醫鑑]
☞ 소독음(消毒飮) ○ 구슬이 시원히 내돋지 않거나 앞가슴에 조밀(稠密)하게 난 것을 치료하는데 빨리 3-4첩을 써서 시원히 내돋게 해서 독을 풀면 잘 낫는다. ○ 우엉씨(서점자) 8g, 형개수 4g, 감초(생것), 방풍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 혹 산사@자), 황금(술로 법제한 것), 자초 등을 더 넣어 먹인다. 혹 서각즙을 타 먹이면 더욱 좋다[의감]. 

? 化毒湯 ○ 治痘出不快且令稀少紫草茸一錢升麻甘草各五分右?作一貼入?米五十粒同煎服神效[得效]
☞ 화독탕(化毒湯) ○ 구슬이 시원하게 내돋지 않거나 드물게 나온 것을 치료한다. ○ 자초용 4g, 승마, 감초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찹쌀 50알과 함께 달여 먹이면 잘 낫는다[득효]. 

? 犀角消毒飮 ○ 治痘疹未能快透或已出熱尙未解急服此藥鼠粘子二錢荊芥穗防風黃芩各一錢犀角屑甘草各五分右?作一貼水煎服[入門]
☞ 서각소독음(犀角消毒飮) ○ 구슬이 시원히 나오지 못하거나 이미 나왔으나 열이 아직 내리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빨리 이 약을 먹인다. ○ 우엉씨(서점자) 8g, 형개수, 방풍, 황금@) 각각 4g, 서각가루, 감초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입문]. 

? 解毒防風湯 ○ 凡痘出速且密或七日後壯熱毒盛氣弱聲啞此藥主之防風一錢地骨皮黃?白芍藥枳殼荊芥穗鼠粘子各五分右?作一貼水煎服[易老]
☞ 해독방풍탕(解毒防風湯) ○ 대체로 구슬이 빨리 나오면서 조밀하게[密] 나오고 7일 후에도 열이 심하거나 독이 심하고 기운이 약하며 목이 쉰 데는 이 약을 주로 쓴다. ○ 방풍 4g, 지골피, 황기, 백작약,지각, 형개수, 우엉씨(서점자)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역로]. 

? 透肌湯 ○ 治痘不快透紫草白芍藥升麻各一錢?米五十粒右?作一貼水煎服[綱目]
☞ 투기탕(透肌湯) ○ 구슬이 시원히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자초, 백작약,승마 각각 4g, 찹쌀 50알.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강목]. 

? 四聖散 ○ 治痘瘡出不快及倒?紫草茸木通枳殼甘草各等分右爲#末每一錢水煎服[錢乙] ○ 疹痘最要大小分解錢氏四聖散用木通枳殼極好[綱目]
☞ 사성산(四聖散) ○ 구슬이 시원히 나오지 못한 것과 나왔다가 꺼져 들어가는 것을 치료한다. ○ 자초용, 으름덩굴, 지각, 감초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물에 달여 먹인다[전을]. ○ 마마 때에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는 것이 제일 중요한데 이때는 전씨사성산(錢氏四聖散)에 으름덩굴과 지각을 넣어 쓴 것은 아주 잘 된 처방이다[강목]. 

? 加味四聖散 ○ 治痘出不快或陷伏倒?一切惡候紫草茸木通木香黃?川芎人參甘草各四分蟬殼二分右?作一貼入?米百粒水煎服能養而發之[入門]
☞ 가미사성산(加味四聖散) ○ 구슬이 시원히 내돋지 않거나 속으로 꺼져 들어가는 일체 좋지 못한 증후를 치료한다. ○ 자초용, 목통, 목향, 황기, 천궁,인삼, 감초 각각 1.6g, 선각@) 0.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찹쌀 100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이면 원기를 보해서 구슬이 잘 돋게 한다[입문]. 

? 快?散 ○ 治痘出不快或被風復入紫草茸蟬殼人參白芍藥各六分木通三分半甘草二分半右?水煎服[入門]
☞ 쾌반산(快?散) ○ 구슬이 시원히 내돋지 않거나 풍사를 받아서 돋았던 것이 도로 들어간 것을 치료한다. ○ 자초용, 선각,인삼, 백작약 각각 2.4g, 목통 1.4g, 감초 1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입문]. 

? 紫草飮 ○ 治痘瘡出不快三四日隱隱將出未出紫草二兩細?以百沸湯一大椀沃之以物盖定勿令氣出候溫服半合或一合痘卽出[本草] ○ 治痘紫草皆當用茸有發出之攻今人用根反利大便大便泄者勿用[辨疑]
☞ 자초음(紫草飮) ○ 구슬이 시원히 돋지 않고 3-4일 동안 은근히 내돋을 듯하면서도 돋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자초 80g. ○ 위의 약을 잘게 썰어서 끓인 물 1사발에 불려 뚜껑을 덮어서 약 기운이 나가지 않게 하였다가 따뜻해지면 반 홉이나 1홉씩 먹이면 구슬이 곧 내돋는다[본초]. ○ 마마를 치료할 때에 자초의 전초를 쓰되 반드시 싹을 써야 한다. 그것은 내돋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지금 사람들은 뿌리를 써서 오히려 설사하게 하는데 설(泄)할 때는 써서는 안 된다[변의]. 

? 絲瓜湯 ○ 發痘疹最妙取絲瓜連皮子燒存性爲末砂糖溫水調下半匙許或以紫草茸甘草煎湯調服尤妙今人水煎服亦得[丹心]
☞ 사과탕(絲瓜湯) ○ 마마와 홍역 때에 구슬이나 꽃이 내돋게 하는 데 제일 좋다. ○ 수세미오이(사과, 껍질과 씨째로 약성이 남게 태운 것)를 가루를 내어 반 숟가락씩 사탕(砂糖)을 넣은 더운물에 타 먹이거나 자초용과 감초를 넣고 달인 물에 타 먹이면 더욱 좋다. 지금 사람들은 물에 달여 먹이는데 그것도 좋다[단심]. 

? 連翹升麻湯 ○ 治瘡疹一發便密如蠶種或如糠粃毒盛者卽升麻葛根湯(方見寒門)加連翹一味也[正傳]
☞ 연교승마탕(連翹升麻湯) ○ 구슬이 돋는 것이 몹시 배서[便密] 누에알 같거나 쌀겨 같으며 독이 심한 것을 치료한다. 즉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연교 한 가지를 더 넣은 것이다[정전]. 

? 鼠粘子湯 ○ 治痘疹稠密身表熱急用此以防後患地骨皮五分柴胡連翹黃芩黃?各三分半鼠粘子當歸身甘草各二分半右?作一貼水煎服[東垣]
☞ 서점자탕(鼠粘子湯) ○ 마마의 구슬이 돋은 것이 조밀(稠密)하면서 몸 겉에 열이 있을 때에는 빨리 이 약을 써서 뒤에 올 수 있는 증을 방지해야 한다. ○ 지골피 2g, 시호, 연교, 황금,황기 각각 1.4g, 우엉씨(서점자), 당귀, 감초 각각 1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동원]. 

? 樺皮飮子 ○ 治痘不快出樺皮?濃煎汁飮之[正傳]
☞ 화피음자(樺皮飮子) ○ 구슬이 시원히 내돋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봇나무껍질[樺皮]을 썰어서 진하게 달여 먹인다[정전]. 

? 胡?酒 ○ 治同上胡?莖?二兩以淸酒二升同煎令沸便以物盖定勿泄氣候溫去滓噴一身令遍勿噴頭面以衣溫覆須臾痘子快出神效無莖則用子[本草]
☞ 호유주(胡 酒) ○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 고수줄기[胡?莖]를 썰어서 80g을 술 2되와 함께 달인 다음 뚜껑을 덮어서 약기운이 새 나가지 않게 하였다가 따뜻해지면 짜서 찌꺼기를 버리고 쓰되 머리와 얼굴을 내놓고 온몸에 고루 뿜어 준 다음 덥게 덮어 주면 구슬이 아주 잘 내돋는다. 줄기가 없으면 씨를 쓴다[본초]. 

? 又方 ○ 治痘出不快蒲萄硏酒飮之又食之盡出無生則用乾者 ○ 蟬殼三七箇水煮取汁服之[本草] ○ 山査子取肉爲末湯點服之[得效]
☞ 또 한 가지 처방 ○ 구슬이 시원히 내돋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포도를 술을 넣고 갈아 먹이거나 그대로 먹여도 다 나온다. 생포도가 없으면 마른 것을 쓴다. ○ 선각@) 21개를 물에 달여 즙을 내어 먹인다[본초]. ○ 산사@자)살을 가루를 내어 끓인 물에 타 먹인다[득효]. 
관련된 글
  1. 임상 경험방 소변실금 by 한닥터
  2. 방약합편 305. 消毒飮(소독음) by 한닥터
  3. 동의보감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과 절[痘後癰癤] by 한닥터
  4. 동의보감 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痘後雜病] by 한닥터
  5. 동의보감 눈을 보호하는 것[護眼] by 한닥터
  6. 동의보감 흑함(黑陷) by 한닥터
  7. 동의보감 도엽(倒?)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추워서 떠는 것[寒戰] by 한닥터
  9. 동의보감 가렵고 아픈 것[痒痛]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저절로 땀이 나는 것[自汗]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번갈(煩渴)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설사(泄瀉)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 by
  14. 동의보감 음성[聲音] by
  15. 동의보감 방예하는 법[禳法] by
  16. 동의보감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by
  17. 동의보감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by
  18. 동의보감 독을 푸는 것[解毒] by
  19. 동의보감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by
  20. 동의보감 딱지가 앉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收?時吉凶證] by
  21. 동의보감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收?三朝] by
  22. 동의보감 고름이 잡힐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貫膿時吉凶證] by
  23. 동의보감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貫膿三朝] by
  24. 동의보감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by
  25. 동의보감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出痘三朝] by
  26. 동의보감 마마를 치료하는 법[痘瘡治法] by
  27. 동의보감 5장이 서로 억누르는 것[五臟相乘]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나력(??) by 한닥터 *3
  29. 동의보감 변옹(便癰)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토하게 하는 약[吐藥]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단독(丹毒)/피부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은진(?疹)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귀가 아프다가 고름이 나오는 것[耳痛成膿耳]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투침(偸鍼) by 한닥터 *1
  35. 동의보감 검생풍속(瞼生風粟)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화설(火泄)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처방집 보원탕(保元湯)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처방집 호유주(胡 酒)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처방집 화피음자(樺皮飮子)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처방집 서점자탕(鼠粘子湯)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처방집 연교승마탕(連翹升麻湯)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처방집 사과탕(絲瓜湯)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처방집 자초음(紫草飮)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처방집 쾌반산(快 散)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사성산(加味四聖散)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처방집 사성산(四聖散)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처방집 투기탕(透肌湯)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처방집 해독방풍탕(解毒防風湯)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처방집 서각소독음(犀角消毒飮)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처방집 화독탕(化毒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마마를 치료하는 법[痘瘡治法] 691
[소아(小兒)] 마마를 앓는 기간[痘瘡日限] 334
[소아(小兒)] 3일 동안 열이 나는 것[發熱三朝] 958
[소아(小兒)] 열이 날 때 좋은 증과 나쁜 증[發熱時吉凶證] 637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出痘三朝] 701
[소아(小兒)]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802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469
[소아(小兒)] 구슬에 물이 실릴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起脹時吉凶證] 414
[소아(小兒)]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貫膿三朝] 576
[소아(小兒)] 고름이 잡힐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貫膿時吉凶證] 464
[소아(小兒)]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收?三朝] 659
[소아(小兒)] 딱지가 앉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收?時吉凶證] 431
[소아(小兒)]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530
[소아(小兒)] 독을 푸는 것[解毒] 785
[소아(小兒)] 마마 때의 좋고 나쁜 증을 가리는 법[辨痘吉凶] 421
[소아(小兒)] 마마 때 경증과 중증, 순증과 역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輕重順逆] 355
[소아(小兒)]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592
[소아(小兒)]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照燈影法] 311
[소아(小兒)]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791
[소아(小兒)] 마마 때의 음증과 양증을 구별하는 법[辨痘陰陽證] 607
[소아(小兒)] 보호하는 법[保護] 330
[소아(小兒)] 음식(飮食) 306
[소아(小兒)] 마마 때에 먹일 수 있는 좋은 음식[痘疹宜食物] 351
[소아(小兒)] 꺼릴 것[禁忌] 299
[소아(小兒)] 목욕시키는 법[浴法] 420
[소아(小兒)] 방예하는 법[禳法] 614
[소아(小兒)] 마마 때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20
[소아(小兒)] 음성[聲音] 451
[소아(小兒)]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 523
[소아(小兒)] 허리와 배가 아픈 것[腰腹痛] 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