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大便)

금구리(噤口痢)

한닥터 2011.07.29 조회 수 759 추천 수 0
◎ 噤口痢 ○ 痢疾不納飮食者俗謂之噤口痢如頭疼心煩手足溫熱此乃毒氣上衝心肺敗毒散(方見寒門)五錢加蓮肉一錢陳米百粒薑三棗二煎服如過飮苦澁凉藥以致聞食先嘔山藥剉如小豆銀石器一半炒一半生用爲末米飮調下卽效<綱目> ○ 噤口痢胃口熱甚故也.宜參連湯罨臍法人不知此多用溫熱藥及甘味此以火濟火以滯益滯也.<丹心> ○ 下痢口不食亦由脾虛宜以參苓白朮散(方見內傷)去山藥加石菖蒲爲末粳米飮調下二錢或人參赤茯苓石蓮子入些菖蒲煎服胸次一開自然思食<直指> ○ 凡治痢早用鸎粟殼則令毒氣閉塞心絡令口不食宜以御米煮稀粥溫啜解之<類聚> ○ 噤口痢宜倉廩湯開噤湯石蓮散解噤丸納臍膏
 
☞ 금구리(噤口痢)

  ○ 이질로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민간에서는 금구리(噤口痢)라고 한다. 머리가 아프고 속이 답답하며[心煩] 손발이 다는 것[溫熱]는 독한 기운[毒氣]이 심(心)과 폐(肺)로 치밀어 오르기 때문이므로 패독산(敗毒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20g에 연실 4g, 묵은 쌀(진미) 1백알, 생강 3쪽, 대추 2알을 넣어서 달여 먹어야 한다. 그리고 맛이 쓰고 떫으면서 성질이 서늘한 약[苦澁凉藥]을 지나치게 썼기 때문에 음식냄새를 맡기만 하면 먼저 구역질이 나는 데는 산약@)를 잘게 썰어서 은이나 돌그릇에 넣고 절반 정도 익도록 볶은 다음 가루내어 미음에 타 먹으면 곧 낫는다[강목]. ○ 금구리는 위[胃口]에 열이 심한 것이므로 삼련탕과 엄제법(?臍法)을 쓰는 것이 좋다. 사람들은 이것을 알지 못하고 흔히 성질이 덥고 맛이 단 약[溫熱藥]을 쓴다. 이것은 불로써 불을 끄려고 하는 격이며 체한 것을 더 체하게 하는 것이다[단심]. ○ 이질 때에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은 비(脾)가 허(虛)하기 때문이므로 삼령백출산(參苓白朮散,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서 산약를 빼고 석창포를 넣어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흰쌀미음(粳米飮)에 타 먹거나 인삼, 적복령, 석련자에 석창포를 조금 넣어서 달인 물로 먹으면 가슴이 점차 시원해지면서 밥맛이 난다[직지]. ○ 이질 때 일찍이 앵속각을 쓰면 독기(毒氣)가 심락(心絡)을 막기 때문에 음식을 먹지 못하게 된다. 이것을 치료하는 데는 양귀비씨(御米)를 쓰는데 죽을 묽게 쑤어서 더울 때에 먹으면 풀린다[유취]. ○ 금구리에는 창름탕, 개금탕, 석련산, 해금환, 납제고 등을 쓴다. 
 
? 參連湯治噤口痢胃口熱甚黃連三錢人參石蓮肉各二錢右剉作一貼水煎取濃汁細細呷之如吐再喫但得一呷下咽便開仍用罨臍法<回春>
☞ 삼련탕(蔘連湯) ○ 금구리로 위[胃口]에 열이 심한 것을 치료한다. ○ 황련 12g, 인삼 석련육 각각 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넣고 진하게 달여서 조금씩 먹는데 만일 토하면 다시 먹어야 한다. 한 모금만 내려가도 곧 열린다. 이어 엄제법을 써야 한다[회춘]. 
 
? 罨臍法引熱令下行田螺二箇入麝香少許擣爛罨臍中以帛包定<丹心>
☞ 엄제법(罨臍法) ○ 열을 내리게 한다. ○ 논우렁이(전라) 2마리에 사향을 조금 넣고 짓찧어 배꼽에 붙인 다음 비단천으로 싸맨다[단심]. 
 
? 倉廩湯治噤口痢心煩手足熱頭痛此乃毒氣上衝心肺所以嘔而不食人參敗毒散(方見寒門)加黃連一錢石蓮肉七枚陳倉米三百粒入薑三片棗二枚同煎服<醫鑑> ○ 亦治熱痢
☞ 창름탕(倉廩湯) ○ 금구리로 속이 답답하고 손발이 달며[熱]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독기(毒氣)가 심(心)과 폐(肺)로 치밀어 올라서 구역질이 나고 먹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황련 4g, 석련육 7개, 묵은 쌀 3백알을 넣어서 생강 3쪽, 대추(대조)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어야 한다[의감]. ○ 또한 열리(熱痢)도 치료한다. 
 
? 開噤湯 ○ 治噤口痢砂糖七錢細茶五錢縮砂硏一錢生薑五片右剉作一貼水煎露一宿次早面北溫服 ○ 外用木鱉子去殼三錢麝香二分共擣罨臍中卽思食<回春>
☞ 개금탕(開噤湯) ○ 금구리를 치료한다. ○ 사탕 28g, 세다(細茶) 20g, 사인(간 것) 4g, 생강 5쪽.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하룻밤 이슬을 맞힌다. 이것을 다음날 아침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 목별자(껍질을 버린 것) 12g, 사향 0.8g과 함께 짓찧어 배꼽에 붙이고 싸매면 곧 음식 먹을 생각이 난다[회춘]. 
 
? 石蓮散治噤口痢石蓮子槌去殼留心倂肉硏爲末每二錢陳米飮調下此疾由毒氣上衝心肺借此以通心氣便覺思食仍以東壁土炒橘皮爲末入薑棗略煎服佐之<綱目>
☞ 석련산(石蓮散) ○ 금구리를 치료한다. ○ 석련자. ○ 위의 약을 두드려서 껍질을 버리고 심(心)과 살[肉]만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묵은 쌀(陳米)로 쑨 미음에 타 먹는다. 금구리는 독기가 심(心)과 폐(肺)로 치밀어 올라서 생긴 것이므로 이 약으로 심기를 통하게 하면 곧 음식 먹을 생각이 난다. 이 약을 쓴 다음 이어 보조약으로 동쪽벽의 흙(동벽토, 볶은 것)과 진피를 가루내어 생강, 대추와 함께 약간 달여서 먹는다[강목]. 
 
? 解噤丸治噤口痢黃連八兩剉生薑四兩切同炒令焦去薑只取黃連爲末陳米飯和丸梧子大每服七八十丸赤痢陳米飮下白痢橘皮湯下赤白痢陳米橘皮湯下<丹心>
☞ 해금환(解噤丸) ○ 금구리를 치료한다. ○ 황련(썬 것) 320g, 생강(썬 것) 160g. ○ 위의 약을 함께 넣고 눋도록 볶아서[炒令焦] 생강은 버리고 황련만 가루내어 묵은 쌀(陳米)로 지은 밥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80알씩 먹는데 적리(赤痢)에는 묵은 쌀로 쑨 미음으로 먹고 백리(白痢)에는 귤피를 달인 물로 먹으며 적백리(赤白痢)에는 묵은 쌀과 진피를 달인 물로 먹는다[단심]. 
 
? 納臍膏口痢危重者用之立愈王爪藤連莖葉經霜者曬乾燒灰香油調納臍中卽效<醫鑑>
☞ 납제고(納臍膏) ○ 금구리를 치료한다. 병이 위독한데 써도 곧 낫는다. 서리[霜]를 맞은 쥐참외덩굴(王瓜藤)을 줄기와 잎이 달린 채로 볕에 말려서 불에 태워 가루를 낸다. 이것을 참기름(향유)에 개서 배꼽에 붙이면 곧 낫는다[의감].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노인분들 밥맛 없다는데 애용처방(등업용) by 산수유3돈
  2. 방약합편 삼령백출산 , 蔘苓白朮散, Samryeongbaekchul-san by 한닥터
  3. 방약합편 삼령백출산 參笭白朮散 by 한닥터
  4. 기본방 모음 25 삼령백출산(蔘?白朮散) by 한닥터
  5. 방약합편 146. 開噤湯(개금탕) by 한닥터
  6. 동의보감 번갈(煩渴) by 한닥터
  7. 동의보감 비가 허한 데 쓰는 약[脾虛藥] by 한닥터
  8. 동의보감 내상때 조리하고 보하는 약[內傷調補藥] by 한닥터
  9. 동의보감 비위가 상하면 음식생각도 없고 입맛도 없다[內傷脾胃則不思食不嗜食]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열을 내리는데 방법이 있다[退熱有法]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상한병이 나은 뒤의 잡증[傷寒差後雜證]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장풍(腸風)과 장독(臟毒)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풍으로 허리가 아픈 것[風腰痛]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이질을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治痢要訣] by
  15. 동의보감 열리(熱痢) by
  16. 동의보감 풍리(風痢) by
  17. 동의보감 휴식리(休息痢) by
  18. 태암 처방집 內傷補益(내상보익)(大病後調理(대병후조리)) 蔘?白朮散(삼령백출산) by 한닥터
  19. 방약합편 153. ?笭白朮散(삼령백출산)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백출산(加味白朮散)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처방집 삼령백출산(蔘 白朮散)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처방집 엄제법(掩臍法)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처방집 납제고(納臍膏)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처방집 해금환(解?丸)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처방집 석련산(石蓮散)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처방집 개금탕(開?湯)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처방집 창름탕(倉?湯)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처방집 삼련탕(蔘連湯) by 한닥터
  29. 회원임상례 비기허 환자에게 쓰는 처방. 등업해주세요. by smile *1
  30. 임상 경험방 삼령백출산 - 위무력,위하수 - 홍설후 by 한닥터
  31. 방약합편 95 창름탕(倉?湯) by 한닥터
  32. 방약합편 25 삼령백출산(蔘苓白朮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변(大便)] 오랜 설사가 이질이 된다[久泄成痢] 740
[대변(大便)] 이질의 여러 가지 병증[痢疾諸證] 626
[대변(大便)] 적리(赤痢) 1098
[대변(大便)] 백리(白痢) 908
[대변(大便)] 적백리(赤白痢) 729
[대변(大便)] 수곡리 641
[대변(大便)] 농혈리(膿血痢) 1 1286
[대변(大便)] 금구리(噤口痢) 759
[대변(大便)] 휴식리(休息痢) 997
[대변(大便)] 풍리(風痢) 778
[대변(大便)] 한리(寒痢) 727
[대변(大便)] 습리(濕痢) 709
[대변(大便)] 열리(熱痢) 939
[대변(大便)] 기리(氣痢) 621
[대변(大便)] 허리(虛痢) 1006
[대변(大便)] 적리(積痢) 705
[대변(大便)] 구리(久痢) 827
[대변(大便)] 역리(疫痢) 669
[대변(大便)] 고주리(蠱疰痢) 591
[대변(大便)] 5색리(五色痢) 745
[대변(大便)] 이질 때의 8가지 위험한 증후[八痢危證] 660
[대변(大便)] 이질 때 배가 아픈 것[痢疾腹痛] 1005
[대변(大便)] 이질 때 뱃속이 끌어당기는 것같이 아프면서 뒤가 무직한 것[痢疾裏急後重] 611
[대변(大便)] 이질 때 항문이 아픈 것[痢疾大孔痛] 814
[대변(大便)] 이질 때 설사를 시키는 것이 좋다[痢疾宜下] 789
[대변(大便)] 이질을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治痢要訣] 1079
[대변(大便)] 이질 때 두루 쓰는 약[痢疾通治藥] 779
[대변(大便)] 설사나 이질 때 치료하기 쉬운 것과 어려운 것을 갈라 보는 것[泄痢易治難治辨] 566
[대변(大便)] 설사나 이질의 예후가 좋거나 나쁜 증[泄痢吉凶證] 758
[대변(大便)] 음식을 먹은 다음에는 곧 대변을 누는 것[飯後隨卽大便] 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