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소음병 때에는 맥이 침하다[少陰病脈沈]

한닥터 2011.09.05 조회 수 680 추천 수 0
? 少陰病脈沈 ○ 少陰證口燥舌乾而渴尺寸脈俱沈沈而疾則大承氣湯沈而遲則四逆湯[東垣]

☞ 소음병 때에는 맥이 침하다[少陰病脈沈]

 ○ 소음병 때에는 입과 혀가 마르며 갈증이 나고 척맥(尺脈)과 촌맥(寸脈)이 다 침(沈)하다. 맥이 침하면서 빠른 데는 대승기탕을 쓰고 침지(沈遲)한 데는 사역탕을 쓴다[동원]. 
관련된 글
  1. 저널 레이노병의 변증과 처방에 관한 문헌적 고찰 - 중국 논문 중심으로 - by 한닥터
  2. 기본방 모음 149. 四逆湯(사역탕) by 한닥터
  3. 기본방 모음 78.大承氣湯(대승기탕) by 한닥터
  4. 방약합편 HH264 大承氣湯(대승기탕) by 한닥터
  5. 기본방 모음 78.大承氣湯(대승기탕) by 한닥터
  6. 방약합편 HK057 大承氣湯(대승기탕)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이를 가는 것[咬牙] by 한닥터
  8. 동의보감 해역을 치료하는 방법[咳逆治法]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음식에 상한 데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內傷飮食宜下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오열과 오한[惡熱惡寒]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하초열(下焦熱)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안개와 이슬의 맑고 탁한 사기가 사람에게 침습한다[霧露淸濁之邪中人]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설사를 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下不可下證]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상한병의 치료법[傷寒治法]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상한 때의 흉통(胸痛)과 복통(腹痛)[傷寒胸腹痛] by
  16. 동의보감 상한 때의 발광증[傷寒發狂] by
  17. 동의보감 상한전율(傷寒戰慄)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상한 때에는 얼굴, 눈, 혀의 빛깔을 보아야 한다[傷寒看面目舌色]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음극사양(陰極似陽) by
  20. 동의보감 상한양독(傷寒陽毒)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상한음궐(傷寒陰厥) by
  22. 동의보감 상한의 반표반리증[傷寒半表半裏證]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상한이증(傷寒裏證)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궐음병 때 손발이 싸늘한 것[厥陰病手足厥冷]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궐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厥陰形證用藥]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소음병에 꺼릴 것[少陰病禁忌]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소음병 때 저절로 설사하는 것[少陰病自利] by
  28. 동의보감 소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少陰形證用藥]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태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약 쓰는 방법[太陰形證用藥]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양감상한은 죽을 병이다[兩感傷寒爲死證] by
  31. 동의보감 치병에는 강치와 유치의 2가지 증상이 있다[?有剛柔二證]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설사시키는 약[下藥]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배 아픈 부위가 다르다[腹痛有部分]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열심통(熱心痛)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설사시키는 방법[下法]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편두통(偏頭痛)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이질 때 설사를 시키는 것이 좋다[痢疾宜下]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관격이 되었을 때에는 토하고 설사시켜야 한다[關格宜吐瀉]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관격증(關格證)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정신이 얼떨떨하고 잠이 많은 것[昏沈多睡]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크게 설사시켜 광증을 낫게 한다[大下愈狂] by 한닥터
  42. 방약합편 149. 四逆湯(사역탕) by 한닥터
  43. 방약합편 78.大承氣湯(대승기탕)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처방집 대승기탕(大承氣湯)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처방집 사역탕(四逆湯) by 한닥터
  46. 방약합편 대승기탕 - 大承氣湯 by 한닥터
  47. 고방 처방집 사역가인삼탕 四逆加人蔘湯方 by 한닥터
  48. 고방 처방집 대승기탕 大承氣湯方 by 한닥터
  49. 고방 처방집 복령사역탕 茯?四逆湯方 by 한닥터
  50. 고방 처방집 사역가저담즙탕 四逆加猪膽汁湯方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궐음병 때 답답하고 그득하며 음낭이 졸아드는 것[厥陰病煩滿囊縮] 944
[한(寒)] 남아 있는 열이 내리지 않는 것[餘熱不退] 944
[한(寒)] 상한 때의 발광증[傷寒發狂] 933
[한(寒)] 소음병 때 저절로 설사하는 것[少陰病自利] 914
[한(寒)] 양극사음(陽極似陰) 901
[한(寒)] 태양상한(太陽傷寒) 871
[한(寒)] 음극사양(陰極似陽) 862
[한(寒)] 상한 때의 비기[傷寒?氣] 861
[한(寒)] 상한병이 나은 뒤의 잡증[傷寒差後雜證] 861
[한(寒)] 상한 때의 혈증[傷寒血證] 854
[한(寒)] 상한 때의 흉통(胸痛)과 복통(腹痛)[傷寒胸腹痛] 854
[한(寒)] 열이 혈실에 들어간 증[熱入血室證] 854
[한(寒)] 괴증(壞證) 826
[한(寒)] 태양경이 풍과 한에 동시에 상한 것[太陽兩傷風寒] 819
[한(寒)] 상한음궐(傷寒陰厥) 816
[한(寒)] 양명증의 3가지 증상[陽明三證] 808
[한(寒)] 양감상한은 죽을 병이다[兩感傷寒爲死證] 807
[한(寒)] 소음병 때에 복기(伏氣)로 목구멍이 아픈 것[少陰病伏氣咽痛] 781
[한(寒)] 상한부(傷寒賦) 776
[한(寒)] 상한결흉(傷寒結胸) 771
[한(寒)] 상한병에 맥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은 땀이 나려는 것이다[傷寒無脈爲欲汗] 766
[한(寒)] 상한 때의 번갈[傷寒煩渴] 752
[한(寒)] 태양상풍(太陽傷風) 749
[한(寒)] 신기가 부족하면 땀을 내지 말아야 한다[腎氣不足難得汗] 735
[한(寒)] 소양병 때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少陽證往來寒熱] 724
[한(寒)] 상한은 중한 병이다[傷寒號爲大病] 722
[한(寒)] 소양병 때의 괴증[少陽病壞證] 721
[한(寒)] 태음병 때 배가 아픈 것[太陰病腹痛] 721
[한(寒)] 소음병 때에 맥이 끊어지는 것[少陰病脈絶] 718
[한(寒)] 호혹증(狐惑證) 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