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간옹(肝癰)

한닥터 2011.10.04 조회 수 916 추천 수 0
◎ 肝癰 ○ 期門(穴名)隱隱而痛者肝疽上肉微起者肝癰也[靈樞] ○ 發於腋下赤堅者名曰米疽治之以?石其堅而不潰者爲馬刀挾?急治之[靈樞] ○ 脇癰由肝心火盛宜柴胡淸肝湯(方見上)潰後方可淸熱托裏忌熱藥[入門] ○ 肝癰兩?滿臥則驚不得小便[內經] ○ 小柴胡湯隨證加?用(方見寒門)

☞ 간옹(肝癰)

○ 기문(期門, 혈이름) 부위가 은은히 아픈 것은 간저(肝疽)이고 그 위의 살이 약간 불룩해지는 것은 간옹(肝癰)이다[영추]. ○ 겨드랑 밑에 벌겋고 단단한 것이 생긴 것을 미저(米疽)라고 하는데 침으로 치료해야 한다. 단단하기만 하고 곪지 않는 것은 마도협영(馬刀挾?)이라고 하는데 빨리 치료해야 한다[영추]. ○ 협옹(脇癰)은 간(肝)과 심(心)에 화(火)가 성(盛)하여 생긴 것이므로 시호청간탕(柴胡淸肝湯,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곪아터진 다음에는 열을 내리고 탁리하는 약을 쓰는 것이 좋고 성질이 열한 약은 쓰지 말아야 한다[입문]. ○ 간옹 때에는 양쪽 옆구리가 그득하고 자면서 잘 놀라며 소변을 누지 못한다[내경]. ○ 소시호탕(小柴胡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증상에 따라 가감하여 써야 한다.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임상례] 항문 단순 포진 치험례 by 열린의학
  2. 명의방론 소시호탕 – 한방 항염증약!② by 한닥터
  3. 명의방론 소시호탕 – 한방 항염증약!① by 한닥터
  4. 회원임상례 Lymp node enlarge by Geuyean
  5. 임상 경험방 도한 by 한닥터
  6. 회원임상례 (등업용) 두드러기에 시령탕 가 석고 by 하늘바다 *2
  7. 회원임상례 (등업용) 복통 - 소시호탕 거 황금 가 작약 by 위드
  8. 방약합편 소시호탕,小柴胡湯,Sosiho-tang by 한닥터
  9. 회원임상례 (등업용) 여자 44세 기울 - 소시호탕증 by 뿌리내림
  10. 방약합편 시호청간탕 柴胡淸肝湯 by 한닥터
  11. 방약합편 소시호탕 小柴胡湯 by 한닥터
  12. 기본방 모음 171. 小柴胡湯(소시호탕) by 한닥터
  13. 기본방 모음 25 소시호탕(小柴胡湯) by 한닥터 *1
  14. 기본방 모음 소시호탕 -小柴胡湯 by 한닥터
  15. 방약합편 HK111 小柴胡湯(소시호탕)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해산 후에 열이 나는 것[産後發熱]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감기[感寒]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나력(??) by 한닥터 *3
  19. 동의보감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온역을 치료하는 방법[瘟疫治法]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학질을 치료하는 방법[?疾治法]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이 학질과 비슷한 것[寒熱似?]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6경 학질[六經?]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해역을 치료하는 방법[咳逆治法]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담수(痰嗽)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장부와 관련된 기침을 치료하는 약[臟腑治咳藥]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열은 낮에 나는 것과 밤에 나는 것의 구별이 있다[熱有晝夜之分]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서병에는 모서(冒暑),중서(中暑), 상서(傷暑)의 3가지 증이 있다[暑有冒暑中暑傷暑三證]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화해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和不可和證]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설사를 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下不可下證]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상한병의 치료법[傷寒治法]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남아 있는 열이 내리지 않는 것[餘熱不退]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열이 혈실에 들어간 증[熱入血室證]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노복증과 식복증[勞復食復證]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과경이 되었어도 낫지 않는 것[過經不解]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괴증(壞證)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상한에 회충을 토하는 것[傷寒吐蛔]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상한 때의 흉통(胸痛)과 복통(腹痛)[傷寒胸腹痛]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상한 때의 혈증[傷寒血證]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상한 때의 장결[傷寒藏結]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상한 때의 조열[傷寒潮熱]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상한 때에는 얼굴, 눈, 혀의 빛깔을 보아야 한다[傷寒看面目舌色]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오한이 나는 것, 열을 싫어하는 것,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惡寒惡熱往來寒熱]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상한의 반표반리증[傷寒半表半裏證]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태음병 때 배가 아픈 것[太陰病腹痛]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소양병 때에 옆구리가 아픈 것[少陽病脇痛]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소양병 때의 괴증[少陽病壞證]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소양병 때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少陽證往來寒熱]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소양증을 반표반리증이라고 한다[少陽證爲半表半裏]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소양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少陽形證用藥]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변증(辨證)] 5정소병(五精所幷) 312
[변증(辨證)] 5장이 싫어하는 것[五臟所惡] 362
[변증(辨證)] 5장과 관련된 진액[五臟化液] 364
[변증(辨證)] 5가지 맛을 꺼릴 것[五味所禁] 341
[변증(辨證)] 5병소발(五病所發) 389
[변증(辨證)] 5사소란(五邪所亂) 349
[변증(辨證)] 5사맥이 나타나는 것[五邪所見] 344
[변증(辨證)] 5장이 간직하고 있는 것[五臟所藏] 302
[변증(辨證)] 5장이 주관하는 것[五臟所主] 303
[변증(辨證)] 5로소상(五勞所傷) 360
[변증(辨證)] 5장과 관련된 5가지 맥[五脈應象] 359
[진맥(診脈)]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6가지 주되는 맥[天和六脈] 476
[진맥(診脈)] 맥은 반드시 생기가 있어야 한다[脈當有神] 520
[진맥(診脈)] 맥에는 위기가 기본이다[脈以胃氣爲本] 477
[진맥(診脈)] 진장맥(眞臟脈) 624
[진맥(診脈)] 손맥과 지맥[損至脈] 636
[진맥(診脈)] 이경맥(離經脈) 415
[진맥(診脈)] 남정과 북정의맥[南北政脈] 412
[진맥(診脈)] 지대맥으로 죽는 시기를 알 수 있다[止代脈定死期] 403
[진맥(診脈)] 색, 촉, 결, 대, 맥은 다 도중에 멎는 맥이다[?促結代脈皆中止] 494
[진맥(診脈)] 음맥과 양맥[陰陽脈] 736
[진맥(診脈)] 잔적맥(殘賊脈) 400
[진맥(診脈)] 호맥(互脈) 510
[진맥(診脈)] 청고무맥(淸高無脈) 442
[진맥(診脈)] 병이 심할 때에는 반드시 태계맥과 충양맥을 짚어 보아야 한다[凡病革必診太谿衝陽] 677
[진맥(診脈)] 맥이 대(大)한 것은 병이 진행되는 것이다[脈大病進] 430
[진맥(診脈)] 촌구맥이 평하면 죽을 수 있다[寸口脈平猶死] 861
[진맥(診脈)] 맥과 증상이 반대되는 것[脈從病反] 434
[진맥(診脈)] 맥이 끊어져서 나타나지 않은 것[脈絶不見] 462
[진맥(診脈)] 맥을 짚어 보는 데는 가볍게 눌러 보는 것과 힘주어 눌러 보는 것이 있다[診有輕重] 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