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상한음독(傷寒陰毒)

한닥터 2011.09.08 조회 수 704 추천 수 0
◎ 傷寒陰毒 ○ 傷寒三陰病深必變爲陰毒其證四肢厥冷吐利不渴靜?而臥甚則咽痛鄭聲加以頭痛頭汗眼睛內痛不欲見光面脣指甲靑黑手背冷汗心下結硬臍腹築痛身如被杖外腎氷冷其脈附骨取之則有按之則無宜甘草湯正陽散陽氣乍復或生煩躁者返陰丹復陽丹用之不可凉藥[入門] ○ 又此證面靑舌黑四肢厥冷多睡[入門] ○ 積陰感於下則微陽消於上故其候四肢沈重逆冷腹痛咽喉不利或心下脹滿結硬燥渴虛汗不止或時狂言爪甲面色靑黑六脈沈細而一息七至以來速於氣海關元各炙二三百壯以手足溫煖爲效仍服還陽散退陰散[本事] ○ 陰毒沈困之候六脈附骨取之方有按之卽無一息八至已上或不可數至此則藥餌難爲攻矣宜炙臍下二三百壯更以還陽散等熱藥助之如手足不和煖者不可治[本事] ○ 傷寒陰毒之病面靑身痛如被杖咽喉痛五日可治七日不可治甘草湯主之[仲景] ○ 陰毒宜用正陽散附子散白朮散回陽救急湯?臍法 ○ 一人傷寒四肢逆冷臍下築痛身疼如被杖盖陰毒也急服金液丹來復丹(方?見下)等藥其脈遂沈而滑證雖陰而有陽脈可生仍炙臍下百壯乃手足溫陽回得汗而解[本事]

☞ 상한음독(傷寒陰毒)

 ○ 상한 때에 3음경병(三陰經病)이 심해지면 반드시 음독(陰毒)으로 변하는데 그 증상은 팔다리가 싸늘하고[厥冷] 토하며 설사하고 갈증은 없으며 몸을 꼬부리고 가만히 누워 있는 것이다. 심하면 목구멍이 아프고 정성(鄭聲)㈜이 있으며 머리가 아프고 머리에서 땀이 나고 눈알[眼睛] 속이 아파서 햇빛을 보기 싫어하며 얼굴, 입술, 손발톱이 검푸르게 되고 손등에서 찬 땀이 나고 명치 밑이 뜬뜬하며 배꼽노리[臍腹]가 툭툭 뛰면서 아프다.  ○ 몸은 마치 매를 맞은 것같이 아프고 음낭이 얼음처럼 차고 맥은 잠복되어 꾹 눌러야 짚이고 약간 누르면 짚이지 않는다. 이런 데는 감초탕이나 정양산을 쓴다. 양기(陽氣)가 잠시 회복되어 안타깝게 답답하면[煩燥] 반음단이나 부양단을 쓰고 성질이 서늘한 약은 쓰지 말아야 한다[입문]. ○ 또 이때의 증상은 얼굴이 푸르며 혀가 거멓고 팔다리가 싸늘하고 잠이 많다[입문]. ○ 몰린 음기[積陰]가 하초로 내려가면 미약한 양기[微陽]는 상초에서 소모된다. 그러므로 이때의 증상은 팔다리가 무겁고 싸늘하며 배가 아프고 목구멍이 불편하며[不利] 혹 명치 밑이 불러 오르고 그득하면서 뜬뜬하며 갈증이 나고 허해서 땀이 계속 나며 때로 미친 소리를 한다. 그리고 손발톱과 얼굴빛이 검푸러지고 6맥이 침세(沈細)하면서 한번 숨 쉴 동안에 일곱번씩 뛴다. 이때에는 빨리 기해(氣海), 관원(關元) 혈에 뜸을 각각 200-300장씩 떠야 하는데 손발이 더워질 때까지 뜬 다음 곧 환양산이나 퇴음산을 써야 한다[본사]. ○ 음독 때의 위험한 증상은 6맥이 잠복되어 꾹 눌러야 짚이고 약간 누르면 짚이지 않으면서 한번 숨 쉴 동안에 여덟번 이상 또는 그 수를 셀 수 없이 뛰는 것이다. 병이 이와 같이 되면 약을 써도 효과가 없다. 그러므로 배꼽 아래에 약 200-300장의 뜸을 뜬 다음 환양산과 같이 성질이 뜨거운 약으로 도와주어야 한다. 그러나 손발이 더워지지 않으면 치료하기 어렵다[본사]. ○ 상한음독 때에는 얼굴빛이 퍼렇게 되고 몸이 매를 맞은 것같이 아프면서 목구멍도 아픈데 이 병이 생긴 지 5일 되었으면 치료할 수 있으나 7일이 된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이런 때에는 감초탕을 쓴다[중경]. ○ 음독 때에는 정양산, 부자산, 백출산, 회양구급탕과 배꼽에 찜질하는 방법을 쓴다. ○ 어떤 사람이 상한을 만나서 팔다리가 싸늘하고[逆冷] 배꼽노리가 툭툭 뛰면서 아프고 몸은 매를 맞은 것같이 아팠다. 이것은 상한음독(傷寒陰毒)이기 때문에 급히 금액단과 내복단(來復丹, 처방은 다 아래에 있다) 등을 먹였다. 그러자 맥이 곧 침활(沈滑)해졌기 때문에 비록 음증증상은 있으나 양맥(陽脈)이 나타나므로 살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다. 그리하여 배꼽 아래에 뜸 100장을 뜨니 곧 손발이 더워지고 양기(陽氣)가 회복되어 땀이 나면서 풀렸다[본사]. 

[註] 정성(鄭聲) : 헛소리를 하는 것, 즉 말을 똑똑히 알아들을 수 없이 하면서 같은 말을 되풀이하는 것.

? 正陽散 ○ 治傷寒陰毒證附子?一兩乾薑?甘草炙各二錢半?角一挺麝香一錢右爲末每二錢水一盃煎至五分和渣熱服一方用白湯調下[得效]
☞ 정양산(正陽散) ○ 상한음독증을 치료한다. ○ 부자(싸서 구운 것) 40g, 건강(싸서 구운 것), 감초(볶은 것) 각각 10g, 조협(조각) 1꼬투리, 사향 4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알씩 물 1잔에 넣고 절반이 되게 달여 찌꺼기째로 따끈하게 하여 먹거나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득효]. 

? 甘草湯 ○ 治陰毒甘草炙升麻當歸桂枝各一錢雄黃川椒各一錢半鱉甲?炙三錢右?作一貼水煎服毒從汗出未汗再服[入門] ○ 一名升麻鱉甲湯[仲景]
☞ 감초탕(甘草湯) ○ 음독(陰毒)을 치료한다. ○ 감초(볶은 것), 승마, 당귀, 계지 각각 4g, 웅황,산초(천초) 각각 6g, 별갑(졸인 젖을 잘라 구운 것)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그러면 독이 땀으로 나온다. 땀이 나지 않으면 다시 먹는다[입문]. ○ 일명 승마별갑탕(升麻鱉甲湯)이라고도 한다[중경]. 

? 返陰丹 ○ 治陰毒脈伏及陽脫無脈厥冷不省硫黃五兩硝石太陰玄精石各二兩乾薑附子桂心各五錢爲末用鐵?先鋪玄精次鋪硝石各一半中間鋪硫黃末又布硝石玄精餘末盖上以小盞合着用炭三斤燒令得所勿令烟出急取瓦盆合着地上候冷取出入餘藥同爲末糊丸梧子大艾湯下三十丸汗出爲度[入門]
☞ 반음단(返陰丹) ○ 음독(陰毒)으로 복맥(伏脈)이 나타나는 것과 양기(陽氣)가 없어져서 맥이 잘 나타나지 않고 손발이 싸늘하며[厥冷]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유황 200g, 초석, 현정석(玄精石) 각각 80g, 건강, 부자, 계심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쓰는데 쇠그릇에 먼저 현정석 절반량을 펴고 그 위에 초석 절반량을 편 다음 그 위에다 유황가루를 편다. 그 위에 또 나머지 현정석가루와 초석가루를 순서대로 펴고 작은 잔을 덮는다. 다음 이것을 숯 1.8kg을 피우면서 연기가 나지 않을 때까지 굽는다. 그 다음 빨리 꺼내어 질그릇으로 덮어서 땅에 놓아 식힌다. 다음 여기에 나머지 약가루를 넣고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약쑥을 달인 물로 먹는데 땀이 날 때까지 먹는다[입문]. 

? 復陽丹 ○ 治陰毒面靑肢冷脈沈?澄茄木香吳茱萸全蝎附子?硫黃各五錢乾薑一錢右爲末酒糊和丸梧子大薑湯下三十丸復以熱酒投之取汗[入門]
☞ 부양단(復陽丹) ○ 음독(陰毒)으로 얼굴이 퍼렇고 팔다리가 싸늘하며 맥이 침(沈)한 것을 치료한다. ○ 필징가, 목향, 오수유, 전갈, 부자(싸서 구운 것), 유황 각각 20g, 건강 4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에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 그 다음 뜨거운 술을 먹고 땀을 낸다[입문]. 

? 還陽散 ○ 治陰毒面靑肢冷心躁腹痛硫黃爲末每二錢新汲水調下良久或寒一起熱一起再服汗出而差[本事]
☞ 환양산(還陽散) ○ 음독으로 얼굴이 퍼렇고 팔다리가 싸늘하며 가슴이 안타깝게 답답하고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유황. ○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깨끗한 물에 타서 먹으면 조금 있다가 오한이 나거나 열이 나는데 이때에 또 먹으면 땀이 나고 낫는다[본사]. 

? 退陰散 ○ 治傷寒陰毒川烏乾薑等分右爲粗末炒令轉色放冷再爲細末每一錢鹽一捻水少許同煎溫服[本事]
☞ 퇴음산(退陰散) ○ 상한음독을 치료한다. ○ 오두, 건강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빛이 변하도록 볶은다음 식혀서 다시 보드랍게 가루낸다. 한번에 4g씩 쓰는데 소금 한자밤과 함께 물을 조금 붓고 달여서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본사]. 

? 附子散 ○ 治傷寒陰毒附子?二錢半桂心當歸白朮各二錢半夏製乾薑?各一錢右?作一貼入薑三片水煎服[得效]
☞ 부자산(附子散) ○ 상한음독을 치료한다. ○ 부자(싸서 구운 것) 10g, 계심, 당귀, 백출 각각 8g, 반하(법제한 것), 건강(싸서 구운 것)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 白朮散 ○ 治傷寒陰毒四肢逆冷心胸煩躁川烏?桔梗白朮附子?細辛各五錢乾薑?二錢半右爲末每二錢水煎服[丹心]
☞ 백출산(白朮散) ○ 상한음독으로 팔다리가 싸늘하고 가슴이 안타깝게 답답한 것을 치료한다. ○ 오두(천오, 싸서 구운 것), 길경, 백출, 부자(싸서 구운 것), 세신 각각 20g, 건강(싸서 구운 것) 1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 廻陽救急湯 ○ 治傷寒陰證及陰毒四肢厥冷脈沈細脣靑面黑人參白朮白茯?陳皮半夏乾薑?肉桂附子?五味子甘草炙各一錢右?作一貼入薑七片水煎服[醫鑑]
☞ 회양구급탕(廻陽救急湯) ○ 상한음증과 음독으로 팔다리가 싸늘하고 맥이 침세(沈細)하며 입술이 퍼렇고 얼굴이 검은 것을 치료한다. ○ 인삼, 백출, 백복령, 陳皮, 반하, 건강(싸서 구운 것), 육계, 부자(싸서 구운 것), 오미자, 감초(볶은 것) 각각 4g. 

? ?臍法 ○ 治陰毒危急體冷無脈氣息欲絶或不省人事大?白把切去葉?餠二三寸許連作四五餠先將麝香硫黃各一字塡臍內放?餠於臍上以?斗火?之如餠爛再換新餠又?之以?氣入腹爲效手足溫有汗卽差更服四逆湯以溫其內如?後手足指尙冷甲下肉黑者死[活人] ○ 又法?醋拌?皮炒?納布袋中蒸熱?之尤速效[海藏]
☞ 배꼽에 찜질하는 방법[?臍法] ○ 음독이 중(重)해져서 몸이 차고 맥이 짚이지 않으며 숨결이 끊어지려고 하거나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파밑(총백, 큰 것으로 잎을 버린 것). ○ 위의 약을 썰어서 짓찧어 직경이 2-3치 되게 떡 4-5개를 만든다. 그 다음 먼저 사향과 유황을 각각 1g씩 섞어서 배꼽에 채워 넣고 그 위에 파떡을 놓는다. 다음 다리미질을 하는데 만일 파떡이 익으면 갈아 붙이면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파의 기운이 배에 들어가면 곧 손발이 따뜻해지면서 땀이 나고 곧 낫는다. 이때에는 다시 사역탕을 먹어서 속을 덥혀야 한다. 만약 파찜질을 한 다음에도 손발이 더 차지고 손발톱 밑의 살이 검어지면 죽는다[활인]. ○ 다른 방법은 진한 식초(?醋)에 밀기울(?皮)을 버무려 볶아서 베주머니에 넣은 다음 뜨겁게 쪄서 찜질하는 것인데 효과가 매우 빠르다[해장].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누풍증(漏風證) by 한닥터
  2. 방약합편 백출산 白朮散 by 한닥터
  3. 기본방 모음 286. 附子散(부자산) by 한닥터
  4. 방약합편 286. 附子散(부자산) by 한닥터
  5. 동의보감 번갈(煩渴) by 한닥터
  6. 동의보감 만경풍(慢驚風)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오조(惡阻)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중한증(中寒證)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상한음증(傷寒陰證)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소음병에 꺼릴 것[少陰病禁忌]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소음병 때에 복기(伏氣)로 목구멍이 아픈 것[少陰病伏氣咽痛] by 한닥터
  13. 방약합편 16. 甘草湯(감초탕)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백출산(白朮散)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처방집 감초탕(甘草湯)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처방집 백출산(白朮散)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처방집 부자산(附子散)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처방집 회양구급탕(廻陽救急湯)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처방집 백출산(白朮散)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처방집 부자산(附子散)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처방집 퇴음산(退陰散)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처방집 환양산(還陽散)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처방집 부양단(復陽丹)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처방집 반음단(返陰丹)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처방집 감초탕(甘草湯)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처방집 정양산(正陽散)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처방집 정양산(正陽散)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처방집 감초탕(甘草湯)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처방집 백출산(白朮散) by 한닥터
  30. 고방 처방집 백출산 白朮散方(見外臺) by 한닥터
  31. 고방 처방집 감초탕 甘草湯方 by 한닥터
  32. 방약합편 120 백출산(白朮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음궐과 양궐을 갈라보는 방법[辨陰陽厥法] 486
[한(寒)] 궐에는 장궐과 회궐이 있다[厥有藏厥?厥] 456
[한(寒)] 궐과 사역은 같지 않다[厥與四逆不同] 521
[한(寒)] 상한음독(傷寒陰毒) 704
[한(寒)] 상한양독(傷寒陽毒) 1004
[한(寒)] 음성격양(陰盛隔陽) 1 645
[한(寒)] 양성거음(陽盛拒陰) 615
[한(寒)] 음극사양(陰極似陽) 862
[한(寒)] 양극사음(陽極似陰) 901
[한(寒)] 상한잡증(傷寒雜證) 388
[한(寒)] 상한 때에 머리가 아픈 것, 몸이 아픈 것, 온몸의 뼈마디가 아픈 것[傷寒頭痛身疼百節痛] 667
[한(寒)] 오한이 나는 것, 열을 싫어하는 것,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惡寒惡熱往來寒熱] 1092
[한(寒)] 상한 때에는 얼굴, 눈, 혀의 빛깔을 보아야 한다[傷寒看面目舌色] 972
[한(寒)] 상한의 합병[傷寒合病] 537
[한(寒)] 상한의 병병[傷寒倂病] 489
[한(寒)] 상한번조(傷寒煩躁) 1099
[한(寒)] 번조의 뒷짐작[煩躁吉凶] 361
[한(寒)] 번조증이 나다가 다리가 가드라드는 것[煩躁脚攣] 704
[한(寒)] 오농과 불울[懊??鬱] 694
[한(寒)] 상한전율(傷寒戰慄) 696
[한(寒)] 상한동계(傷寒動悸) 666
[한(寒)] 상한동기(傷寒動氣) 714
[한(寒)] 동기가 오른쪽에 있는 것[動氣在右] 413
[한(寒)] 동기가 왼쪽에 있는 것[動氣在左] 467
[한(寒)] 동기가 위에 있는 것[動氣在上] 427
[한(寒)] 동기가 아래에 있는 것[動氣在下] 693
[한(寒)] 상한 때의 번갈[傷寒煩渴] 752
[한(寒)] 상한 때의 조열[傷寒潮熱] 679
[한(寒)] 상한 때의 발광증[傷寒發狂] 931
[한(寒)] 상한 때의 섬어와 정성[傷寒?語鄭聲] 1522